세계 1, 2위의 인구 대국이자 경쟁 관계인 중국(13억5000만명)과 인도(12억3000만명)의 두 정상이 14일 고대 문화교류의 현장인 시안(西安)에서 이례적인 밀월 행보를 시작했다. 특히 시안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고향이기도 해 두 정상의 ‘우정’과 밀착 관계를 더욱 도드라지게 했다.
이날부터 사흘 일정의 방중길에 나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산시성의 성도인 시안에 도착해 시 주석의 환대를 받았다. 지방인 시안을 직접 찾아온 시 주석은 모디 총리를 맞이하며 “외국 정상을 제 고향에서 맞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9월 인도를 방문했을 때 모디 총리의 고향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를 방문해 정상회담을 개최한 사실을 거론하며 양국이 더욱 가까워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회담에서 ‘전략적 협력파트너 관계’ 추진과 더욱 가까운 ‘개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었다”면서 “모디 총리의 이번 방문으로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디 총리는 이에 대해 “중국과 인도의 고대 문명은 높은 수준의 문화적 교류를 이어왔다”면서 양국 관계의 오랜 인연을 강조했다. 중국 언론은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베이징이 아닌 다른 도시에서 직접 외국정상을 맞이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일이라며 시 주석의 모디 총리에 대한 대우가 파격적인 수준이라고 해석했다.
오전 이른 시각에 시안에 도착한 모디 총리는 진시황 병마용(兵馬俑)을 둘러본 뒤 방명록에 “병마용은 세계의 유산이며 중국문화의 성취에 대한 증인이다.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적는 등 중국을 한껏 치켜세웠다.
시안시는 중국과 인도의 교류가 활발했던 당(唐)나라 시대 의식으로 모디 총리의 첫 방중을 환영했고, 모디 총리는 부처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보리수 모종을 방중 선물로 가져온 것으로 알려졌다.
모디 총리는 15일에는 베이징으로 이동해 시 주석, 리커창 총리와 공식 회담을 한다. 16일에는 상하이에서 중국 경제인들과 만나 인도에의 투자를 당부할 예정이다.
공식 정상회담에서는 현재 양국 간에 추진되고 있는 고속철 프로젝트가 더욱 진척되고 100억 달러(11조원) 규모의 경제협력 계약이 체결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AP통신은 이번 만남에 대해 “26억 인구를 가진 떠오르는 두 강국이 따뜻한 만남을 가졌다”면서 “특히 중국 외교에서는 드물게 정상 간의 사적(私的)인 만남과 터치가 어우러졌다”고 보도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고향서 정상회동은 처음” 시진핑·모디의 밀월 행보
입력 2015-05-15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