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다시 하향 조정한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 경기선행지수는 호조를 나타냈다. 국내외 기관들의 진단이 제각각이어서 우리 경제의 앞날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IMF는 13일(현지시간)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3.1%로 수정 발표했다. 지난 2월 3.7%였던 IMF 전망치는 지난달 3.3%로 낮아지더니 한 달 만에 0.2% 포인트가 더 떨어졌다. IMF는 “2013년 초부터 형성됐던 성장 동력이 정체됐다”며 “특히 지난해 4월 세월호 참사가 소비·투자심리에 크고 지속적인 충격을 줬다”고 설명했다.
다만 IMF는 지금까지 시행된 경기 부양책에 의해 전반적인 수요 회복이 이뤄지고 유가 하락의 긍정적 효과가 작용한다면 성장률이 예상 범위의 상단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성장 동력이 회복됐다는 분명한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추가 부양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OECD의 지표는 우리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3월 OECD 경기선행지수는 102.0으로 2010년 4월(102.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경기가 확장 국면이라는 뜻이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헷갈리는 한국경제 진단… IMF, 성장 전망치 또 하향 vs OECD는 “호조”
입력 2015-05-15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