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동원훈련장의 실탄 안전관리가 도마에 올랐다. 13일 총기난사 사고 당시 예비군 20명이 20개 사로에서 사격훈련에 들어갔다. 전체 사로를 현장에서 직접 통제하는 인원은 현역병 6명에 불과했다. 대위급 간부 3명은 멀리 떨어져 있어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엔 물리적 한계가 있었다.
총기 관리도 허술했다. 군은 예비군훈련장 사격훈련과 관련해 실탄을 어떤 절차에 따라 몇 발씩 지급하고 총기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훈련장마다 지휘관이 재량껏, 또 편의대로 운용하는 실정이다.
육군 관계자는 “사격 준비를 위해 엎드려 있는 상태에서 실탄을 전달해야 하는 규정은 준수됐다”고 했다. 하지만 실제 사격은 통상의 절차를 편의대로 축소해 진행됐다. 통상 사격훈련에 앞서 실시되는 영점사격은 실탄 3발을 지급해 25m 앞의 표적지를 조준 사격한다. 이어 탄창을 바꿔 실탄 6발을 지급해 측정사격을 한다. 이렇게 실탄을 나눠 주는 데는 우발적 사고를 막으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이 훈련장도 10발을 한꺼번에 지급했다. 육군 관계자는 영점사격 대신 ‘25m 수준 유지사격’을 실시했고 10발이 든 탄창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총기를 난사한 최모씨는 1발을 사격하고 나서 7발을 한꺼번에 난사할 수 있었다.
여기에다 사로에 놓인 총기는 통상 안전을 위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상에 고정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았다. 최씨는 엎드린 자세에서 일어나 자유롭게 뒤편의 부사수와 옆 사로를 겨냥했다. 소총의 안전고리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최씨가 5사단 현역 시절 B급 관심병사였지만 제대 이후에는 이런 점이 간과됐다. B급 관심병사는 동료 병사의 밀착 감시를 받기도 한다. 아무런 안전대책 없이 실탄을 줘서는 안 되는 상황이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예비군 총기사고]총기관리·실탄 지급 규정 없어
입력 2015-05-14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