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하수가 모이는 하수처리장에서 히로뽕 등의 마약 물질이 다수 검출됐다. 국내에서 생활하수 속 마약 잔류량이 나온 것은 처음으로 히로뽕 등의 마약이 우리 생활 주변에서 폭넓게 소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산대 화공생명·환경공학부 오정은 교수팀은 호주 퀸즐랜드대 환경독성연구센터와 공동으로 2012년 12월 27일부터 2013년 1월 1일까지 국내 일부 하수처리장의 하수 원수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마약 잔류물질 검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런 분석결과가 담긴 논문을 이 분야 국제학술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근호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국내 5개 도시(부산 울산 창원 밀양 김해)의 15개 하수처리장에 모인 하수 원수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는 지역사회의 하수 속에 잔류하는 마약류 분석을 통해 전체 마약 소비량을 추정하는 ‘하수역학(sewage epidemiology)’ 방식을 국내에 처음 도입한 것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조사방식이 이미 2001년 이후로 보편화됐다.
연구팀은 채집한 시료에서 마약 잔류물질 17종에 대한 검사를 시행했다.
이 결과 메스암페타민(히로뽕), 암페타민(각성제), 코데인(마약성 진통제)이 90% 이상의 시료에서 검출됐으며, 한 시료에서는 속칭 ‘러브 드럭’으로 불리는 신종 마약인 MDA 성분이 나왔다.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국내 인구 1000명당 하루 히로뽕 사용량이 22㎎에 달하고, 연간 총 소비량은 약 410㎏인 것으로 추산했다. 국내 연간 압수량 21㎏(2012년 대검찰청 마약백서 기준)의 19.5배나 되는 히로뽕이 소비되고 있는 셈이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생활하수서 마약 성분 다량 검출
입력 2015-05-13 0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