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난장판이다. 4·29재보선 참패 책임론을 놓고 티격태격하던 와중에 불거진 정청래 최고위원의 막말 파문을 계기로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김한길 전 대표가 문재인 대표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요구하고, 중진 의원들이 문 대표의 ‘비선라인’을 문제 삼고 나서 문 대표의 영(令)마저 서지 않는 상황이다. 총체적인 난국이다.
그 이면에는 계파갈등이 있다. 계파갈등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당의 활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당에서 뜻이 맞는 의원들끼리 모이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의 계파갈등은 악성(惡性)이다. 당보다 계파 이익을 우선하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다보니 걸핏하면 한 지붕 밑에서 다투거나 흠집내기 일쑤다. 당이 제대로 역량을 발휘할 수 없는 내부 구조를 갖고 있다는 얘기다. 당 지도부의 무능과 무책임도 문제지만 그보다 계파갈등의 폐해가 더 크다고 하겠다.
작금의 새정치연합 내분도 문 대표를 정점으로 한 친노(親盧) 세력과 김한길·박지원 의원을 비롯한 비노(非盧) 세력의 첨예한 대립이 근본 원인이다. 4·29재보선 패배 이후 주류인 친노는 아무 책임을 지지 않고 어물쩍 넘어가려 한 반면 비노는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친노의 분파주의를 비판한 뒤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 주승용 최고위원은 비노계이고, 주 최고위원에게 면전에서 ‘공갈치고 있다’고 반격한 정청래 최고위원은 친노계다. 친노는 주 최고위원을 겨냥해 “자해행위”라고 공격했고, 비노는 “문 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천정배 신당’ 같은 바람이 거세게 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게다가 일반 당원들이 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가 불가피하다면서 정 최고위원을 당 윤리심판원에 제소함으로써 계파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비노는 정 최고위원의 출당이나 당적 박탈까지 주장하고 있고, 친노는 가혹한 징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맞서 있다.
시선은 문 대표에게 쏠려 있다. 이번 사태는 정 최고위원의 사과만으로 해결될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새정치연합 소속 전남도의원들이 지도부의 각성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전선도 확대되고 있다. 문 대표가 11일 사과하면서 ‘문재인은 친노 수장’이라는 말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으나 당내에서조차 울림이 거의 없다. 계파갈등을 봉합할 특단의 카드가 절실한 시점이다. 총선 전 분당(分黨)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염두에 두고 해법을 내놔야 한다. 그 출발점은 정 최고위원에 대한 강도 높은 조치여야 한다고 본다. 문 대표는 주 최고위원에게 선당후사(先黨後私)를 주문했다. 그러나 이 말은 문 대표 본인은 물론 친노와 비노 모두가 새겨들어야 한다. 단합하지 않으면 미래는 암울하다.
[사설] 난장판 새정치연합 계파갈등 못 넘으면 미래 없다
입력 2015-05-13 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