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들이 쓰레기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2017년부터 수도권매립지에 일반 생활쓰레기 반입이 금지되는데다 쓰레기 처리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올해 20∼30% 쓰레기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음식물쓰레기 감량 경진대회를 열어 실적이 우수한 주택단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가 하면 12년 만에 종량제 봉투 가격을 인상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주민들의 쓰레기 감량과 재활용품 분리수거를 유도하고 있다.
서울 노원구(구청장 김성환)는 주민들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지역 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 감량 경진대회’를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 중 단지별 종량제를 시행하는 146개 단지에 대해 이달부터 9월까지 5개월간 진행된다. ‘최우수’ 공동주택 4개 단지와 ‘우수’ 공동주택 8개 단지에는 납부필증, 수거용기, 탈수기 중 선호하는 물품을 지원한다. 노원구는 2016년까지 관내 전체 공동주택에 주파수 인식(RFID) 종량기기를 설치하고 이를 일반주택으로 확대해 2018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절반 줄인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구로구(구청장 이 성)도 지난달부터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 감량 경진대회를 시작해 9월까지 진행한다. 기간 내 집계된 각 공동주택 월별 배출량을 세대별 일평균 배출량으로 환산해 실적을 평가한다.
양천구(구청장 김수영)는 지난달 22일 음식물 조리 전에 발생하는 생쓰레기를 수거하고 퇴비화하는 ‘쓰레기, 꽃이 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서울남서여성민우회, 신정텃밭농장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천구는 지난해 144t의 음식물 생쓰레기와 100t의 공원 낙엽을 수거해 퇴비장에 공급하는 등의 사업으로 2800만원의 예산을 절감했고, 이 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서울시로부터 2000만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견학과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쓰레기 감량과 재활용품 분리수거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중구(구청장 최창식)는 지난달부터 주민들에게 수도권매립지 현장을 보여주고 자원순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광진구(구청장 김기동)는 대부분의 쓰레기봉투 속에 재활용이 가능한 비닐류, 종이류, 음식물 등이 혼합되어 있어 분리배출 전과 후의 쓰레기봉투 무게가 어떻게 차이나는지 보여주는 ‘종량제 봉투 성상체험’ 사업을 지난달부터 연중 실시하기로 했다.
중구와 광진구는 버린 만큼 수수료를 부담하는 음식물쓰레기 RFID 종량기기 설치사업을 확대 실시한다. 이는 세대별로 부여받은 RFID 카드(교통카드와 작동원리 동일)를 종량기기에 읽히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계량해 수수료를 부담하는 방식이다.
영등포구(구청장 조길형)와 강동구(구청장 이해식)는 이달부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수료를 인상했다. 강동구 관계자는 “일반쓰레기의 수도권매립지 반입이 내년에 종료될 예정이어서 쓰레기줄이기가 최대 과제가 됐다”며 주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한편 윤성규 환경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수도권매립지 현안 해결을 위한 4자협의체 6차 회의를 열었으나 매립지 사용기간 연장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환경부와 서울시 등은 매립지 사용 기간을 최대한 늘리자고 주장하는 반면 인천시는 최소화해야 한다며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수도권매립지 ‘일반’ 반입 내년 종료] 서울 자치구 쓰레기와 전쟁… 당근·채찍 들고 감량 유도
입력 2015-05-11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