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동차 노후화 대책에 요금인상분 우선 투입하라

입력 2015-05-11 00:29 수정 2015-05-11 18:05
지하철 전동차 운행이 지연되는 사고가 잇따랐다. 8일 오전 7시16분쯤 지하철 4호선 당고개행 열차가 총신대입구역 진입 중에 멈춰서 37분간 운행을 중단했다. 전원을 공급하는 주회로 장치의 고장 탓이었다. 앞서 7일 오전엔 지하철 3호선 대화역의 선로전환기가 고장나 1시간 가량 운행이 지연됐다. 6일 오후에도 3호선 원흥∼대화 구간 전기 공급이 갑자기 끊기는 사고가 있었다. 1년여 전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열차 추돌사고로 477명이 다친 이후 안전성이 얼마나 개선됐는지 의문이다.

서울메트로 지하철 1∼4호선의 전동차 1954량 중 802량(41%)이 21년 이상 된 노후 전동차라고 한다. 통상 20년 이상 운행된 전동차는 교체 대상으로 분류된다. 또한 전기와 통신, 열차신호에 쓰이는 케이블도 대부분 20년 이상 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5월 2일 발생한 지하철 열차 추돌사고도 낡은 열차 제어 시스템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총 8370억원을 들여 사고 위험이 높은 노후 전동차량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그러나 그때까지 7년간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지가 걱정이다. 게다가 지하철 1∼4호선의 내진설계 반영 구간은 전체 146.8㎞ 가운데 5.3㎞로 3.6%에 그친다.

그간 안전관리 점검 결과를 보면 걱정이 기우가 아니다. 서울시 감사관실이 자치구 23곳과 합동으로 지난해 2월부터 3월까지 지하철 안전관리 실태를 살펴본 결과 지난 5년간 모두 7만9569건의 안전 결함이 지적됐지만 실제 보수가 완료된 것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가 지지부진한 것은 예산 문제 때문이다.

다음 달부터 지하철 요금이 200원 인상되면 수입 증가분을 우선적으로 안전관리 대책에 투입돼야 한다. 서울메트로(1∼4호선)와 도시철도공사(5∼8호선)을 비롯한 지하철 운영 회사들은 사고와 고장을 줄이기 위한 근본 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