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제시해 맑고 밝은 세상을 만들어가야 할 정치지도자 그룹들이 줄줄이 부패로 몰려 검찰청사 앞에 서야 하는 충격적인 장면을 저는 잊을 수가 없습니다.”
1997년 한보사태에 연루됐던 정치인들을 향해 이처럼 일갈했던 검사 출신 초선의원이 8일 서울고검 청사 앞에 섰다. 18년이 흘러 그의 신분은 현직 도지사이면서 또한 피의자였다. 한보사태를 꼭 빼닮았다는 ‘성완종 리스트’ 정국에서 부패로 몰린 첫 정치인 홍준표(61) 경남지사다.
이날 오전 9시55분 출두한 홍 지사는 장사진을 이룬 취재진을 보고 긴장한 듯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은 붉은색 넥타이를 매만졌다. 심경을 묻는 질문에는 아무 답도 하지 않았다. 오전 8시 서울 잠실의 자택을 나설 때 “어버이날이라 달았다”며 보였던 분홍색 카네이션은 출두 전 1시간쯤 들른 변호사 사무실에서 떼어 버렸다.
홍 지사는 카메라 앞에서 짐짓 웃음을 지었지만 ‘충격적 장면’을 오래 연출하기 싫은 눈치였다. 포토라인에 선 지 1분도 안 돼 청사 안으로 걸어 들어갔다. 그는 검사 시절 경험담을 풀어놓은 책 ‘홍 검사, 당신 지금 실수하는 거요’에서 “검찰청 현관에서의 취재 경쟁과 몸싸움 과정에서 거물 피의자는 이미 한풀 꺾인다”고 썼었다.
거침없는 수사로 이름을 날렸던 그가 ‘친정’을 다시 찾은 건 20년 만이다. 그의 검사 시절을 기억하는 법조계 인사들은 “홍 지사는 인지수사(認知搜査·범죄의 단서를 직접 찾아 수사하는 것)를 좋아했다”고 말한다. 유명 드라마 ‘모래시계’의 원형이기도 했던 그는 1995년 10월 법복을 벗었고 이듬해 2월 정계에 입문했다. 신한국당(현재 새누리당) 소속 의원이던 1999년엔 ‘국회 529호실 난입사건’에 얽혀 서울지검 남부지청 출석을 통보받았지만 불응했다.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은 홍 지사의 현직 신분을 고려해 소환조사 준비부터 철저하게 했다. 그는 김진태(63·14기) 검찰총장과 사법연수원 동기이기도 하다. 7일에는 검색대 통과부터 엘리베이터 탑승, 조사실 입장까지의 동선을 점검했다. 피의자 신분으로 고위 간부용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혼잡을 빚는 상황을 피하려는 조치였다.
수사팀장인 문무일(54·18기) 대전지검장은 홍 지사 출두 직후 서울고검 1208호 조사실을 직접 찾아가 10분가량 대화를 나눴다. 2004년 홍 지사는 문 지검장이 있던 대통령 측근비리 특검팀을 방문해 100억원짜리 양도성예금증서(CD)를 보여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뇌물 은닉을 주장한 일이 있다. 문 지검장은 조사실의 홍 지사에게 커피를 권하며 조사 배경과 진행 방식을 부드럽게 설명했다. 홍 지사는 커피를 거절하고 물을 한 잔 요청해 마셨다.
오전 10시17분 홍 지사는 소파에서 몸을 일으켜 피의자석에 앉았다. 입회한 이혁(51·20기) 변호사는 그의 뒤편에 자리 잡았다. 홍 지사의 사법연수원 14년 후배인 손영배(43·28기) 부장검사가 피의자 신문을 주도했다. 평검사 1명도 조사에 참여했다. 홍 지사는 묵비권을 행사하지 않고, 오히려 상당량의 소명 자료를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의혹을 부인했다. 수사팀 관계자는 “조사가 순조롭게 진행됐고 홍 지사가 하고 싶은 말을 상세하게 했다”고 전했다.
홍 지사는 점심과 저녁식사를 청사 내 별도 공간에서 보좌진과 함께했다. 검찰은 주요 피의자의 경우 수사검사와 함께 식사할지, 일행과 별도로 할지 묻는다.
이경원 문동성 신훈 기자
neosar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홍준표 검찰 출두] 洪, 18년 만에 ‘충격적 장면’ 장본인이 되다… ‘친정’ 검찰에 가던 날
입력 2015-05-09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