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북 공동행사 합의가 당국간 대화로 이어지길

입력 2015-05-09 00:38
남북한 민간단체가 6·15선언 15주년과 8·15광복 70주년을 기념하는 공동행사를 갖기로 합의한 것은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6월 15일과 8월 15일 사이 2개월간 다양한 교류협력 행사를 개최키로 한 만큼 남북 당국이 대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남북 공동행사는 성사될 경우 2008년 금강산에서 개최된 이후 7년 만에 열리는 것이다. 금강산 관광객 피격과 천안함 피폭 이후 남북 간에는 당국 간 대화는 물론 민간교류조차 중단되다시피 했다. 박근혜정부 출범을 계기로 관계개선을 도모할 수 있었음에도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박 대통령은 굵직굵직한 대북 제안을 하고도 북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정부가 이번 공동행사를 당연히 승인해줘야 한다. 북이 당국 간 대화를 외면한 채 민간단체 행사를 허용한 데서 대남 선전선동 의도가 엿보이지만 이번에는 좀 긴 안목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6·15공동행사와 달리 8·15공동행사의 경우 정치적 의미가 큰 만큼 행사 내용과 장소 등에 대해 당국 간 협의를 갖는 게 좋겠다.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는 각별한 행사여서 서울이나 평양이 아닌 판문점에서 개최하는 것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남북한 민간단체가 논의 중인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 북한 응원단 파견 및 백두산 성화 채화’도 당국 간 논의가 불가피해 보인다. 정부가 이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대화 제의를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 대화의 문은 자꾸 두드려도 된다.

공동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남북 간 상황관리를 전략적으로 잘해 나가야 한다. 남북은 지금 서해 북방한계선에서 일촉즉발의 긴장상태에 있다. 북한 군부가 백령도 주변 해상분계선 침범 시 조준 타격하겠다고 경고했으며, 이에 우리 국방부가 도발 시 단호한 대응을 천명했기 때문이다. 총격전이라도 벌어질 경우 남북 간 대화는 물 건너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