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1억원을 수수한 의혹을 받고 있는 홍준표 경남지사가 8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이완구 전 총리를 비롯해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8명 가운데 첫 피소환자다. 홍 지사 소환은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검찰 특별수사팀의 수사가 비로소 의혹의 몸통을 향해 정조준하기 시작했다는 신호탄이다.
홍 지사는 의혹이 제기된 때부터 의혹을 전면 부인했던 다른 사람들과 달리 확인도 부인도 않는 모호한 태도를 취해왔다. 그는 검찰에 출두하면서도 사실 여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런 일로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얼버무렸다. 게다가 홍 지사는 성 전 회장과 만난 시기와 횟수에 대해서도 말을 바꿔 의혹을 증폭시켰다. 진실은 검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밝혀지겠지만 돈을 건넸다는 윤 모 전 경남기업 부사장의 진술이 매우 구체적이어서 홍 지사가 혐의에서 벗어나긴 쉽지 않아 보인다. 특별수사팀도 혐의 입증에 자신이 있으니까 언론에 공표까지 하면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한 게 아니겠는가.
첫 단추를 잘 꿰어야 이번 수사에 대한 잡음을 잠재울 수 있다. 성 전 회장이 남긴 여러 증거와 당시 정황을 자세히 묘사한 목격자 진술에도 불구하고 특별수사팀이 홍 지사 혐의 입증에 실패한다면 다른 7명의 수사는 하나 마나 일 것이다. 대통령이 성역 없는 수사를 천명한 만큼 특별수사팀은 권력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오로지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면 된다.
앞으로 더 어려운 수사가 남아 있다. 리스트에 오른 이 전 총리 등의 의혹을 뒷받침할 증거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포기해선 안 된다. 조그만 단서 하나라도 절대 놓치지 않겠다는 각오로 수사에 임한다면 실체적 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번 수사는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에도 강하다는 걸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검찰의 명운을 걸어라.
[사설] 검찰, 洪 지사 소환 계기로 수사 속도 높여야
입력 2015-05-09 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