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특혜’ 전정도 관련사 압수수색… MB 정부 실세들과 깊은 친분 포스코플랜텍 자금 유용 혐의

입력 2015-05-08 02:35 수정 2015-05-08 17:24

이명박정부 시절 자신이 운영하던 성진지오텍을 포스코에 특혜 매각했다는 의혹을 받아온 전정도(56) 세화MP 회장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포스코그룹 비리에서 출발한 수사가 이명박정부 실세들에게까지 한 걸음 다가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7일 오전 9시부터 전 회장의 울산 자택과 관련업체 3~4곳에 수사관들을 파견, 회계자료와 개인서류,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전 회장이 운영하는 세화MP, 유영E&L, 문수중기 등 업체가 압수수색 대상이었다. 검찰 관계자는 전 회장의 혐의를 업무상 배임과 횡령으로 설명했다.

앞서 포스코플랜텍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이란석유공사로부터 석유 플랜트 공사대금으로 받은 7100만 유로(약 1000억원)를 유용한 혐의로 지난달 전 회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고발했다. 전 회장은 이 돈을 세화MP의 현지법인 은행 계좌에 넣어 보관하다 사적으로 쓴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플랜텍은 전 회장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자금을 불법 인출했고, 허위 잔액증명서를 작성해 이 같은 사실을 숨겨왔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이와 별도로 전 회장이 세화MP 자금 수십억원을 횡령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당발 인맥을 자랑하는 전 회장은 정준양(67) 전 포스코 회장 등 이명박정부 주요 인사들과 친분이 두터운 ‘실세’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 회장은 파생상품 키코(KIKO) 손실로 부도 위기에 처했던 성진지오텍 지분과 경영권을 2010년 3월 포스코에 시세의 2배인 1600억원에 매각했다. 이에 전 회장은 정권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 아니냐는 구설에 올랐었다.

2010년 5월 인수·합병이 마쳐지며 공개된 포스코의 지분 매수 내역은 이러한 의혹을 더욱 키웠다. 포스코는 당시 최대주주였던 전 회장의 주식 440만주와 미래에셋 사모펀드 3곳이 보유하던 주식 794만여주를 장외에서 사들여 최대주주(40.37%)가 됐다. 그런데 이때 포스코는 전 회장의 지분은 주당 1만6331원에, 미래에셋 사모펀드 지분은 주당 1만1000원에 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성진지오텍 부실 인수로 수사가 확대될 경우 결국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 검찰의 최종 타깃이 될 전망이다. 우량기업이던 포스코플랜텍은 성진지오텍을 인수·합병한 뒤 4년 연속 적자에 시달렸다. 정 전 회장 재임 당시 포스코 계열사는 41곳 늘었지만 자본잠식으로 경영이 악화된 곳이 18곳에 이른다.

검찰이 전 회장과 전정권 인사들의 유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포스코그룹에 대한 사정 작업은 전방위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검찰 관계자는 “옛 성진지오텍 수사는 포스코그룹 비리 수사의 또 다른 본류”라며 “포스코 수사 폭이 좀더 넓어진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