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배재성(사진)·진희경 교수팀이 골수조혈줄기세포를 이용해 항암제 부작용을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 ‘뉴로펩타이드 Y’(NPY)를 발견했다고 미래창조과학부가 7일 밝혔다. 심각한 항암제 부작용인 급성 골수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항암치료요법 중 항암제를 이용한 화학약물치료법은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특히 급성골수손상은 골수 재생성에 관여하는 조혈줄기세포의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만성 골수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암 환자가 화학약물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없게 된다.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NPY가 나타나지 않는 생쥐의 골수는 정상 생쥐의 골수보다 조혈줄기세포 수가 적은 것을 발견했다. NPY는 뉴로펩타이드 중 하나로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에서 풍부하게 분비된다. 식욕중추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연구팀은 조혈줄기세포의 감소가 세포 생존·유지에 필수적인 골수 내 신경세포와 내피세포가 죽었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또 NPY가 나타나지 않는 생쥐의 조혈줄기세포 감소는 항암치료를 받은 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골수손상 부작용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분야 학술지인 ‘엠보 저널’ 4월 27일자에 실렸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국내 연구진, 항암제 부작용 최소화 길 열었다… 신경전달물질 ‘뉴로펩타이드 Y’ 발견
입력 2015-05-08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