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은 6일에도 경남기업의 조직적 증거인멸·은닉 수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3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의 해외 자원개발 비리 수사 착수 이후 경남기업 경영진 ‘대책회의’가 없애거나 숨긴 흔적을 찾는 것이 이 수사의 핵심이다. 수사팀은 이때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금고지기’ 한장섭(50) 전 부사장이 분식회계 정황이 드러난 전표 등을 폐기 대상으로 선별했다고 본다.
하지만 그는 대책회의의 다른 인사들과 달리 구속되지 않았다. 증거인멸·은닉 혐의의 박준호(49) 전 상무와 이용기(43) 부장은 참고인으로 조사를 받다가 이미 구속 수감됐다. 수사팀은 이 대책회의에 들어갔던 정낙민(47) 팀장의 경우 소환 사실을 공개했지만, 한 전 부사장은 수차례 비밀리에 불렀다. 회사 내 지위로 볼 때 한 전 부사장이 성 전 회장 사후 경남기업 경영비리의 책임자라는 점도 불구속 수사에 의문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이는 내부 정보에 가까이 접근했던 한 전 부사장이 수사팀에 적극 협조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른바 ‘플리바게닝(유죄 협상)’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전 부사장은 지난 3월 특수1부 수사를 받을 때 피의자 신분으론 이례적으로 변호인을 선임하지 않았고, 현장 전도금 명목의 32억원의 인출액·시기 정보를 검찰에 제출했다. 그는 윤승모(52) 전 경남기업 부사장을 통해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건너간 의혹을 받는 1억원,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에게 전달된 의혹을 받는 2억원 등을 마련한 과정에 모두 개입돼 있다. ‘성완종 리스트’ 수사 역시 비자금 인출 내역을 소상히 아는 한 전 부사장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한 전 부사장이 출근하다시피 검찰에 나가 진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한장섭 경남기업 前 부사장, 檢 가려운 곳 긁어주나?… ‘成 금고지기’로 수사팀에 적극 협조
입력 2015-05-07 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