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최대의 친환경 수변도시인 5조원대의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 업체를 홀대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6일 부산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내년 초 발주 예정인 에코델타시티 2, 3단계 사업의 공사비가 1조600억원에 달하지만 현재의 발주방식을 적용하면 지역 업체에 돌아올 물량은 2000여억원에 그칠 전망이다.
이에 전문건설협회 부산시회 등 지역 건설단체들은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에 지역 건설사가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입찰방식을 변경하고 하도급 점검팀을 구성해 줄 것을 수자원공사에 공식 요청했다.
현재 수자원공사가 발주한 에코델타시티 1단계 2, 3공구는 수도권의 대형 건설사들이 78%와 80%를 차지한 상태다
수자원공사는 1단계 입찰 때 부산 업체의 지분을 30% 이상 유지하도록 권고했을 뿐 별다른 조치는 취하지 않아 입찰자격 기준에서 앞서는 수도권 대형 건설사들이 공사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 등은 지역 건설업체의 ‘공동도급 30%, 하도급 50%’ 참여를 수자원공사 등에 촉구했다. 또 지역 건설업계는 “지역 건설사들은 부산신항을 비롯해 미음산단, 국제산업물류도시 등 강서지역에서 수많은 공사 경험을 축적했다”며 “사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서도 지역 건설사의 참여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80%, 부산도시공사가 20%를 투자하는 에코델타시티 사업은 부산 강서구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주변에 친환경 수변도시를 조성하는 것으로 사업비 규모가 5조4000억원에 달한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 ‘에코델타시티’ 사업 지역업체 찬밥 반발
입력 2015-05-07 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