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잔재’ 국세청 남대문 별관 허문다

입력 2015-05-07 02:31

일제가 덕수궁의 정기를 끊기 위해 세운 국세청 남대문 별관이 78년만에 철거되고, 그 곳에 광복 70주년의 의미를 담은 광장이 조성된다. 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평화비가 올해안에 건립되고, 서대문형무소 등에 일제의 인권 탄압을 알리는 표석이 세워진다.

서울시는 6일 이 같은 내용의 광복 70주년 기념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국세청 별관 철거, 주요 인권 장소 표석화 및 ‘사람의 길’ 조성, 독립 기념탑 건립, 대전차 방호시설 예술창작 공간 조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평화비 건립이 추진된다.

특히 그동안 국가가 주관해온 기념사업과는 달리 ‘나의 광복’이라는 슬로건하에 시민들이 각자 광복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다채로운 시민참여 행사가 진행된다.

1907년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하고 살았던 덕수궁과 서울시의회 사이에 있는 국세청 남대문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광장을 조성하는 사업은 ‘공간의 광복’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서울시는 이달 철거공사를 시작해 8월에 광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건축물의 일부를 활용한 기념벽을 제작·전시하는 등 시민들의 공간 조성을 알리는 퍼포먼스도 진행할 계획이다.

인권 투어 코스인 ‘사람의 길’ 조성은 광복 70주년 인권장소 표석화 사업이다. 12월 10일 세계 인권의 날을 즈음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정식 운영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5월부터 인권현장 및 기반 조사 용역을 진행해 8월에는 투어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돼 고문을 당한 서대문형무소와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남산 예장동의 일제 통감부 관저 등에는 표석이 설치된다.

시는 민간단체와 함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평화비를 12월까지 건립한다. 또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할 수 있는 1000만 시민 통일염원 ‘독립기념탑’을 2019년 3월까지 용산가족공원에 세울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민들이 생각하는 ‘나의 광복’을 수집해 8월초 서울도서관 외벽에 전시물을 설치하고 시민들이 의미있는 천조각을 활용해 만든 대형 태극기를 들고 청계천을 덮는 ‘시민태극기’ 행사를 진행한다. 광복 당시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옥하는 독립투사들을 환영하는 시민 사진을 재현하고, 사진 속 인물 찾기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아울러 광복 70주년과 ‘나의 광복’ 의미를 담은 시민참여 UCC를 공모하고 광복등축제, ‘광복의 그날’ 뮤지컬 갈라 퍼포먼스 등 시민청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밖에 충남 예산의 윤봉길 생가터와 김구 선생이 머물렀던 충남 공주 마곡사에서 길러진 무궁화를 효창공원에 심고, 후계목을 분양하는 행사도 열린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