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딸과 조카를 데리고 네팔 히말라야를 걸어서 내려온 전승완씨는 5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한국대사관의 소극적 대응 태도를 꼬집었다. 전씨는 “카트만두로 돌아와 대사관에 전화해 보니 히말라야에 들어간 한국인이 누군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했다.
네팔 당국은 히말라야 등산객의 여권을 일일이 확인·복사한 뒤 40달러 정도를 받고 확인서를 내준다. 한국대사관이 네팔 정부와 공조해 한국인 등산객 명단을 파악할 수 있지 않느냐는 게 전씨의 생각이다. 그와 통화한 대사관 직원은 “네팔 정부에서 안 준다”고 말했다고 한다. 전씨는 “대사관이 연락해오는 사람만 확인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 트레킹 코스인 랑탕처럼 등산객이 많은 쪽으로 셔틀 차량을 준비해준다든지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전씨는 “3일 카트만두 공항에서 방콕으로 나올 때 보니 대사관 직원들이 태극기를 걸어놓고 앉아 있는데 거기에 왜 있는지 모르겠더라. 외교부나 대사관의 태도를 보면 각자 재주껏 해결하고, 그러다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어쩔 수 없다는 식 같았다”고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아직 한국인 실종자는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외국 원정대 소속이거나 단독 여행객일 경우 확인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여행사들이 지진 때문에 귀국 일정을 당긴 사람들에게 평소보다 비싼 수수료를 받아 챙긴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씨는 출국 날짜를 바꾸면서 가족 1인당 3만원씩 웃돈을 내야 했다. 그는 “위급해서 빨리 나와야 하는 사람들에게 턱없는 수수료를 내라고 하면 안 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강창욱 조성은 기자
kcw@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네팔 대지진, 자국 등산객 파악도 못한 한국대사관… 여행사는 비싼 수수료 챙겨
입력 2015-05-06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