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어린이 놀이터가 올 들어 잇따라 문을 닫고 있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가 지난 4일 ‘어린이에게는 놀 권리가 있다’ ‘어린이는 차별 없이 놀이 지원을 받아야 한다’ 등 5개 항목의 헌장까지 발표했지만 정작 어린이들의 놀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5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가 올해 놀이시설의 안전기준을 규정한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을 대폭 강화하면서 보수·정비 예산이 없어 폐쇄·철거되는 어린이 놀이터가 증가하고 있다.
광주지역의 경우 아파트 단지 등의 전체 어린이 놀이터 1820여 곳 가운데 안전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지난 1월부터 이용이 금지된 놀이터가 60여 곳에 달한다. 전남지역 역시 940여 곳 중 40여 곳의 놀이터가 안전설치 검사를 받지 못하고 방치돼 있다. 안전기준을 맞추려면 놀이터 1곳 당 수천만 원의 비용이 필요한데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이 예산 부족으로 시설 개선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일부 놀이터는 아예 입주민의 주차장 등으로 용도를 바꾸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문제는 가난한 동네일수록 어린이 놀이터가 상대적으로 사라지기 쉽다는 점이다. 부유한 어린이들은 각종 유희시설을 찾아 돈 들여 놀 수 있지만 영세한 가정의 어린이들은 놀이터가 거의 유일한 놀이공간인 탓에 놀이터를 찾았다가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이로 인해 영세 아파트의 어린이 놀이터 정비를 아동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안전기준 강화 후… 어린이 놀 공간 줄었다
입력 2015-05-06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