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박대통령 사면권 개선 발언, 무책임의 극치”

입력 2015-05-05 02:18
새정치민주연합은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노무현정부 시절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 의혹의 진상규명과 사면권 개선 의지를 밝히자 “무책임의 극치”라며 발끈했다.

문재인 대표는 광주 방문 도중 기자들과 만나 “특별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에 결코 불법일 수 없다”며 “박 대통령과 여당이 현 정권의 부정부패를 참여정부의 특별사면의 문제로 가리려 하는데, 그것은 아주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문 대표는 “적절하지 못한 사면에 대한 논란은 늘 있어 왔다”며 “박 대통령도 적절하지 못한 사면을 청원한 바 있고, 새누리당도 최근까지 ‘경제인 특혜사면’을 추진한 바 있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태도는 무책임의 극치”라며 “일말의 책임감도 느낄 수 없는 대통령의 말씀”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정치연합은 특히 박 대통령 측근들이 ‘성완종 리스트’ 의혹에 연루돼 있으며, 대통령이 공식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공격의 포인트로 삼았다. 현 정부를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정권’으로 몰아 특사 논란을 적극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재보선 패배 이후 문 대표의 책임론이 계속 불거지는 상황에서 청와대와 여당이 ‘성완종 특사’ 문제로 야당을 공격할 빌미를 주지 않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새정치연합은 여야가 지난 1일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해서는 ‘갈등해소의 모범적 사례’라고 치켜세웠다. 여야 합의에 대한 청와대의 강력한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여당 내부에서도 개혁안 합의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고조되자 ‘합의 굳히기’에 적극 나선 것이다. 만약 6일 본회의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통과된 뒤, 새누리당이 국민연금 강화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면 새정치연합은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의서) 잉크도 마르기 전에 여야와 공무원단체의 사회적 합의를 훼손하거나 뒤집으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 원내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 합의는) 우리사회 갈등 해결에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며 “합의대로 실천하는 것이 국회에 남겨진 과제”라고 강조했다.최승욱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