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대일(對日)외교 전략에 대해 “역사에는 단호하지만 북핵 문제 등 전략적 이해는 공유하고, 경제·문화(협력)는 확실히 강화한다는 투트랙 전략에 변함없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마치 우리 외교에 원인이 있는 것처럼 보는 시각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에 대해 국제사회가 비판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미를 계기로 불거진 ‘외교 실패’ 논란을 염두에 둔 언급으로 보인다.
앞서 이뤄진 현안 보고에서 윤 장관은 미·일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자위대가 한반도에 진출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일본의 집단자위권 행사 시 ‘제3국 주권의 완전한 존중 원칙’이 명기됐는데 이 ‘제3국’은 사실상 한국을 의미한다”면서 “우리의 사전 동의 없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우리 영역에 진입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가이드라인에 ‘도서 방위 및 탈환 작전’이 명시됨에 따라 이 조항이 독도 분쟁에 적용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근거가 없다”고 반박하며 “(해당 조항은) 일본에 대한 무력공격이 발생한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일본이 한국인 강제 징용시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시도에 대해 “강제노동이 자행됐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산업혁명 시설로 미화해 등재하는 데 반대한다”며 “21개 세계유산 위원국에 대해 우리 입장을 전방위적으로 설득하는 등 모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윤병세 외교부 장관 “국제사회, 日 역사 수정주의 비판”
입력 2015-05-05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