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구한말 일제의 경제침탈을 막기 위해 시작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들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대구시 산하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위원회’(이하 등재위)는 오는 8일 경북광유 대강당과 달구벌대종 앞 광장에서 추진위원, 각계 전문가, 시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보고회 및 시민참여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등재위는 보고회·발대식 이후 설명회 등을 통해 시민들이 등재 사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국채보상운동 동참을 요청하는 취지서(趣旨書), 권고문(勸告文), 통문(通文), 신문 논설·기사 등 국채보상운동 주요 문건 150여건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국회 전문가 포럼, 전문가 세미나 등 학술행사도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등재위는 문화재청이 국내 기록물을 공모·선정하고 선정된 기록물을 유네스코에 제출하는데 1년여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정부·학계 등에 국채보상운동을 알릴 방침이다.
국채보상운동은 민족운동가 서상돈 선생 등이 1907년 일본에서 도입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아 일제의 경체침탈을 막자는 취지로 대구에서 시작한 경제주권 회복운동이다. 이 운동은 특히 1997년 IMF 외환위기 때 전 국민이 참여한 ‘나라 살리기 금 모으기 운동’ 등으로 그 정신이 계승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구시는 앞서 국채보상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2011년 기념관을 건립하고 관련 자료를 집대성하는 등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준비해왔다. 또 지난 3월 지역 단체장 등 지역 인사 60명으로 고문단을 꾸리고 전문가, 공무원 등이 포함된 추진위원회·자문단·실무추진단을 구성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을 운영하는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도 지난 1월부터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새마을운동 기록물 등 최근 등재된 사례를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문화재청의 등재 대상 선정 기준인 진정성, 독창성, 역사적 가치를 이미 확보했고 세계사적으로도 그 가치가 충분하다”며 “전 세계에 유례를 찾기 어려운 시민들의 자발적인 운동이 대구에서 시작됐다는 것을 세계에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가 199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세계기록유산에 우리나라는 훈민정음 해례본, 난중일기, 동의보감 등 11건의 기록물이 등재돼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국채보상운동’ 세계기록유산 등재 본격 나선다… 대구 등재委 8일 보고회·발대식
입력 2015-05-05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