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야생노루 적정 개체수 논란… 2년 전 유해동물 지정 후 3000여마리 포획

입력 2015-05-05 02:43
제주 한라산 야생노루가 유해동물로 지정된 이후 적정 개체수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도는 2013년 야생노루가 유해동물로 지정된 이후 총 3087마리의 노루가 포획됐다고 4일 밝혔다. 제주시의 경우 3억5000만원을 투입해 1850마리를 잡았고, 서귀포시는 3억4000만원을 들여 1237마리를 포획했다.

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이 최근 오름에 서식하는 야생노루의 서식밀도를 조사한 결과 밀도는 ㎢당 8.29마리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제주시가 평균 8.38마리로 서귀포시 6.52마리 보다 많았다. 특히 구좌읍 지역은 2013년 ㎢당 10.8마리에서 지난해 4.3마리로 크게 감소했다. 안덕면 지역도 2013년 ㎢당 9.8마리에서 지난해 4마리로 줄었다.

농작물 피해 보상금이 지급된 농지는 포획 전인 2012년 0.87㎢였으나 엽사를 동원해 포획이 시작된 2013년 0.78㎢, 지난해는 0.61㎢로 나타났다.

도는 그동안 노루 3000마리가 포획되면서 과거 1만7000마리에서 1만4000마리로 줄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노루가 많을 때도 7000∼8000마리를 넘지 않았고, 포획 이후 현재는 4000∼5000마리 정도 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내년 6월까지 실시되는 노루 포획사업으로 자칫 1987년 이전의 멸종 위기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한라산 명물이던 야생노루가 한시적 유해동물로 지정된 이후 지속적인 구제와 포획활동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줄고 있다”며 “포획은 극단적 최후의 방법인 만큼 포획에 앞서 적정 개체수에 대한 실태파악과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민단체들도 “야생노루의 한시적 포획활동은 농작물 피해를 줄이는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 관계자는 “노루의 먹잇감이 되는 식물과 작물의 연간 총생산량을 통해 역으로 노루 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