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한 분야에서 중국의 맹추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2014년도 기술수준평가’를 발표하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전체 기술수준 격차가 2012년 1.9년에서 지난해 1.4년으로 0.5년 좁혀졌다고 3일 밝혔다. 가장 앞서 있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수준 차이는 0.3년 줄어든 4.4년이다.
정부의 ‘기술수준평가’는 과학기술 기본계획상 10대 분야 120개 국가전략기술의 수준을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과 비교한 것이다. 미국의 기술 수준을 100%로 보고 각국의 기술 수준을 ‘미국의 몇%’로 표시한다.
우리나라의 전체 기술 수준은 미국(100%) EU(95.5%) 일본(93.1%)에 이어 78.4%로 평가됐다. 중국은 69.7%였다. 우리는 중국에는 불과 1.4년 앞서고 있으며 EU에는 3.3년, 일본에는 2.8년 뒤지고 있다. 중국은 특히 기계·제조·공정과 전자·정보·통신 분야에서 격차가 0.6년에 불과할 정도로 우리나라 뒤를 바짝 쫓아오고 있다. 항공·우주 분야는 중국(81.9%)이 이미 우리나라(68.8%)에 크게 앞서 있다. 120개 전략기술 가운데 중국이 우리나라에 앞선 것은 18개로 2012년 13개에 비해 5개 많아졌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에 근접한 기술은 ‘인간친화형 디스플레이 기술(91.2%)’ ‘초정밀 디스플레이 공정 및 장비기술(90.8%)’ ‘스마트 그리드 기술(90.3%)’ 등이다. 재난·재해·안전(73.0%) 분야는 일본(94.3%) EU(92.4%)에 크게 뒤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턱밑까지 온 中… 기술격차 1.4년으로 좁혀져
입력 2015-05-04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