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섯 번째 총리는 ‘내 사람’ 고집 안 했으면

입력 2015-05-02 18:50 수정 2015-05-02 21:55
박근혜 대통령은 새누리당의 4·29재보선 승리로 국정운영에 다시 탄력을 받게 됐다. 경제 활성화와 4대 개혁을 반드시 성공시켜 국민의 뜻에 보답하겠다고 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대통령이 기력을 되찾게 된 것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다행스러운 일이다. 박 대통령이 국정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석인 국무총리에 참신하면서도 유능한 인사를 앉혀야 한다.

박 대통령의 총리 인사 평점은 사상 최악이다. 직전 이완구 총리가 금품수수 의혹에 발목 잡혀 낙마함에 따라 정부 출범 2년2개월여 만에 여섯 번째 총리 후보자를 찾게 됐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대통령이 국정을 힘 있게 추진해나가기 위해서는 총리의 든든한 뒷받침이 필요한데 박 대통령은 그런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거듭된 총리 인선 실패는 ‘내 사람’을 지나치게 고집한 데서 비롯됐다. 자업자득인 셈이다.

이번에야말로 마음의 문을 열고 선택의 폭을 확 넓힐 것을 주문한다. 진정 국민이 바라는 총리감이 어떤 사람인지는 박 대통령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본다. 취임 이후 수많은 인사를 천거받았을 것이다. 도덕성, 통합 및 소통 마인드, 정책 이해도, 조직 리더십을 갖춘 사람은 수없이 많다. 중요한 것은 총리를 낙점할 때 진영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이다. 정치적, 이념적 동질성에 무게를 두다보면 인재풀은 좁아질 수밖에 없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걱정해 친박 중진 국회의원을 선택하는 우는 두 번 다시 범하지 말기 바란다.

야당 성향을 가진 사람이면 어떤가. 총리에 오를 정도의 인물이라면 함부로 대통령을 배신하지 않는다. 쿠데타로 집권한 전두환 대통령은 고려대 총장을 지낸 전북 부안 출신 김상협 총리를 임명해 정국 안정에 성공한 바 있다. 다수 국민이 원하는 인물이라면 삼고초려라도 해야 한다. 이번 총리 인선은 박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