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수련시설 운영난… 충북 60∼70% 예약 그쳐

입력 2015-05-01 02:54
개인 등이 운영하는 청소년 수련시설들이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용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0일 충북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에 따르면 충북의 수련시설 예약률이 평균 60∼70%대를 기록하고 있다.

속리산의 한 수련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예약률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이 수련원은 올 들어 4곳의 학교가 다녀갔다. 진천의 한 수련원은 학부모 동의율이 기준에 못 미쳐 4건이 취소됐다. 상당수 수련원은 4월 한 달 동안 학생들이 다녀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련시설들은 학생들의 수학여행과 수련활동이 많은 5∼7월에는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시설과 달리 공공시설 수련원은 인기가 많아 오히려 예약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들이 지자체 등이 운영하는 공공시설 수련원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충북학생종합수련원의 경우 이미 5∼10월에 98개 학교(7000명)가 예약 신청을 했다. 한번에 325명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북자연학습원은 5월에만 6개 학교(500명)가 다녀갈 예정이다.

정부는 청소년수련원, 사회복지시설 등의 건축물을 새로 안전관리 대상으로 편입하고 취약시설물의 안전점검 기준을 강화했다. 일선 학교는 150명 이상이 참가하는 수학여행을 추진하려면 학생과 학부모 80%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또 학생 50명당 1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해야 한다. 수련활동은 학교 차원에서 활성화위원회를 열어 지침을 정하고 있는데 대부분 교육청의 권장사항을 따르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