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 이후] ‘성완종 블랙홀’, 與 압승에 소멸되나

입력 2015-05-01 02:40
새누리당이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면서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한풀 꺾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선거 결과로 나타난 민심은 부패정권 심판보다는 경제 살리기를 바랐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선거 참패로 인한 내부 수습이 급한 상황이어서 ‘친박(친박근혜) 게이트’ 공세를 이어가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여당은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공무원연금, 공공부문 4대 개혁에 주력할 수 있게 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수도권 3곳을 싹쓸이한 데 대해 “경제를 살리라는 준엄한 명령”이라고 해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회의에선 “정쟁을 중단하고 일하라는 것”(원유철 정책위의장), “부정부패 뿌리 뽑고 공무원연금 개혁하라는 뜻”(이정현 최고위원)이라는 의미 부여가 잇따랐다. 선거 기간 부패정권 심판을 내걸었던 새정치연합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수세에 몰렸던 새누리당은 선거를 통해 극적으로 상황을 반전시켰다. 리스트의 진위 여부는 검찰 수사에 맡기고 국회는 할 일을 하자는 메시지를 거듭 강조할 가능성이 크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것과는 별개로 적어도 정치권에서 성완종 이슈가 예전만큼 폭발력을 갖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당장 정치권의 관심은 오는 6일 본회의에서 여야 합의대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처리될지에 쏠리고 있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의 후임 인선도 예정돼 있다.

검찰은 선거라는 변수가 사라져 정치적 부담을 덜었다.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이 특정 정당을 겨냥한다는 세간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수사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돼 야권을 겨냥한 수사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두 차례 특별사면 의혹으로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이미 “범죄 단서가 있으면 수사권을 발동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경우 ‘성완종 정국’은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의 별도 특검 요구는 빛이 바랬다는 평가다. 자신들이 주도해 통과시킨 상설특검법을 시행도 하기 전에 부정하는 것이어서 명분이 떨어지는 데다 새누리당은 언제든 특검을 수용할 수 있다고 오히려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