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지원 재개 이후… 지자체 대북교류사업 기지개

입력 2015-05-01 02:52
정부의 대북 비료지원 재개 허용 이후 지자체들의 남북교류협력사업도 다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북도는 2010년 5·24조치 이후 끊겼던 대북지원사업 재개를 준비중이다. 전북도는 최근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열고 2006년 평양에 세워준 돼지농장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새로 농축산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전북도와 14개 시·군은 5년째 남북교류가 끊겼지만 그동안 67억5000만원의 협력기금을 조성해 둔 상태다. 전북도는 2004∼2007년 농기계와 영농자재를 황해남도 신천군에 지원하고 평안남도 남포시에 돼지공장을 신축해주는 등 3차례 33억여 원 규모의 지원사업을 펼쳤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이번에 대북 비료 지원사업을 승인했지만 아직은 남북관계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라면서도 “교류 재개에 대비해 전북의 장점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사업을 관련 단체와 협의해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한반도 북쪽 끝인 함경북도와 교류하는 약칭 ‘땅끝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는 미역과 쌀을 함북지역 산모들과 불우아동들에게 보내기로 하고 중국 옌볜대 관계자를 통해 함북도와 교류·협력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낙연 지사는 최근 중국을 방문해 베이징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남북이 서로 땅 끝을 연결하는 차원에서 함경북도와 교류를 하려고 한다”며 “정부가 남북 지자체 간 교류를 막는 상황에서 한계는 있지만, 당국도 허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 산모들과 불우아동들을 돕고자 한다”며 “남북 간 분위기가 호전된 만큼 통일부와 협의해 땅끝 협력을 성사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북교류는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이후 5월 24일 정부가 대북교역, 인도주의적 목적을 제외한 대북지원 사업, 북한 주민접촉 등을 중단시킨 이후 모두 단절됐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27일 비료지원을 허용해 남북관계에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주·무안=김용권 김영균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