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 남용과 횡령 혐의 등을 받고 있는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30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됐다. 검찰 수사가 시작된 지 한 달밖에 안 됐지만 그에 대한 비리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것이 터져 나올 정도다.
‘국악계의 대부’로 불린 그는 2005년부터 중앙대 총장을 지내면서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문화예술정책위원장을 지냈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취임준비위원장을 맡았고, 2011년 2월부터 2013년 2월까지는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으로 일했다. 이런 중책을 맡았던 사람이 막강한 권한을 이용해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는데 급급했다니 기가 막힐 따름이다. 그 수법도 노골적이고 치졸하기 짝이 없다.
중앙대 캠퍼스 통폐합이 대표적이다. 중앙대는 2012년 11월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 통합을 추진했다. 그러나 통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자 박 전 수석이 교육부에 압력을 행사해 관련 규정을 개정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기준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반대한 교육부의 담당 과장과 사무관은 지방으로 발령이 났다. 그는 중앙대를 인수한 두산으로부터 많은 대가를 챙겼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딸의 중앙대 교수 채용 의혹, 부인의 두산타워 상가 분양 특혜 등이 그것이다. 그가 공직자임을 조금이라도 의식했다면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그를 통상 차관급인 청와대 수석에 임명하면서 이례적으로 “장관급으로 예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실세 수석’으로 불렸던 이유다. 이런 대통령의 신임을 악용해 권력을 남용한 것이다. 검찰은 박 전 수석-중앙대-두산으로 이어지는 커넥션 의혹을 밝혀내야 한다. 그를 정점으로 이루어진 교육부-대학 간 유착관계의 실태도 철저히 파헤쳐야 할 것이다. 이참에 권력형 비리를 뿌리 뽑는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
[사설] 박범훈 전 청와대 수석 공직자 의식 있기나 했나
입력 2015-05-01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