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방미 일정의 하이라이트인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 역대 총리들의 입장을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 정부가 요구해온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사과(apology)’는 결국 표명하지 않아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29일(현지시간) 일본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의회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했다. 아베 총리는 2차대전 이후 일본의 행보를 상기하면서 “우리(일본)는 전쟁(2차대전)에 대한 깊은 반성의 마음을 새기고 전후 복구에 나섰다. 우리의 행동은 아시아인들에게 고통을 줬고 우리는 여기서 눈을 돌려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나는 이 점에 대해 전임 총리들이 표명한 관점을 계승(uphold)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제 식민지배를 반성하고 사죄한다는 무라야마·고이즈미 담화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과한 고노 담화를 ‘조건 없이’ 계승하겠다는 것이어서 기존 입장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동안 아베 총리는 “‘전체적으로’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등 전제조건을 붙여 왔었다.
그러나 ‘식민지배’ ‘침략’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대신 ‘우리의 행동(our actions)’으로 지칭한 데다 이러한 과거 행위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사과’라는 단어도 사용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한국과 아세안(ASEAN) 국가, 대만, 중국의 전후 발전에도 일본은 자본과 기술을 쏟아부어 부흥을 도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회로 오기 전 내셔널몰의 2차 세계대전 기념공원을 방문했다면서 일본과 일본인을 대표해 이 전쟁에서 희생된 40여만명의 젊은 미국인에게 깊은 참회의 뜻을 전하고 그들의 영면을 기원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2차대전에서 싸운 일본과 미국이 화해하고 강력한 미·일동맹을 구축해 온 의의를 강조했다. 그는 전날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링컨 기념관을 방문한 것을 언급하며 “일본의 미국과의 조우는 또한 민주주의와의 만남이기도 했다”고 미국이 일본에 미친 영향을 치하했다.
그는 아베 총리는 새로운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 라인) 서명으로 미·일동맹이 새로운 단계로 격상됐다며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세계 평화와 안정에 더욱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아베 ‘사과’ 없었다 ‘기대’도 안했다
입력 2015-04-30 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