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골프장은 천막촌으로 변했다. 함부로 들어갈 수 없는 곳이지만 이재민들은 철망을 뚫고 들어가 천막을 세웠다. 사람들은 천막에서만 노숙하는 것이 아니다. 화물차 짐칸과 하수도 연결용 콘크리트 원통 안에서도 먹고 잔다. 돗자리는 도처에 깔렸다. 날이 밝으면 어둠과 추위를 견디기 위해 태우고 남은 잿더미에서 연기가 하얗게 피어오른다.
천막은 태부족이다. 28일(현지시간) 오전 카트만두 시내에서는 마스크를 쓴 젊은 여자가 와서 영어로 “천막을 얻을 수 있느냐”고 물었다. “미안하지만 천막은 없다”고 하자 여자는 실망해서 돌아갔다.
식량도 바닥나고 있다. 현지 안내를 맡은 산드라 브라카스 스레스더(35)씨는 “지금까지는 다 사먹었는데 언제까지 사먹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회사원들은 출근하지 않는다. 학교는 기숙사생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20인승 버스에는 30∼40명이 타고도 모자라 10여명이 지붕에 올라탔다. 지진의 충격을 딛고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시골로 가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시외버스 정류장에선 표 구하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진피해 지역은 오후 7시만 넘으면 도시가 새카맣게 변한다. 전기가 끊겼고, 사람들은 집에 없다.
29일 오전 한 주황색 삼각 천막 앞에서 6∼7세쯤 돼 보이는 여자아이가 쪼그리고 앉아 묵묵히 벽돌을 쌓았다. 무너진 건물의 잔해로 자신의 세상을 재건하는 것처럼 보였다. 오후부터는 상점들이 조심스럽게 셔터를 들어올렸다.
느리지만 일상을 되찾기 위한 노력들이 가시화되고 있다. 카트만두시 당국은 이날부터 지진으로 무너진 잔해들로 어지러운 도로를 청소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카트만두의 명소로 채소 시장인 ‘칼리마티 바자르’도 다시 열렸다.
구조작업이 활발해지면서 무너진 잔해에 며칠씩 갇혀 있다 극적으로 구출되는 생존자들도 나오고 있다. 카트만두 중심가의 무너진 한 아파트에서는 지진 발생 82시간 만에 리시 레키라는 28세 남성이 구조됐다. 오줌을 먹으며 사투한 끝에 다시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일부 몰지각한 이들은 집주인이 여진을 우려해 집을 비운 사이 물건을 훔쳐가고 있어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카트만두=강창욱 특파원
[관련기사 보기]
[4·25 네팔 대지진] 수도 카트만두, 느리지만 다시 일상으로
입력 2015-04-30 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