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공동주택 공시가 3.1% 올라… 혁신도시 수요 증가 한몫

입력 2015-04-30 02:38
올해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3.1% 올랐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공동주택 1162만 가구의 가격을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해 30일 공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전국 평균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올랐다. 상승폭은 3.1%로 작년 0.4%보다 컸다.

공시가격 상승에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등 정부가 내놓았던 부동산 정책들과 저금리, 전세가격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전체 주택 매매거래량이 늘어난 점과 대구 광주 등의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이 이전하면서 해당 지역 주택 수요가 많아진 것도 상승 원인으로 꼽혔다.

가격공시 대상 공동주택의 52.7%를 차지하는 수도권은 올해 2.5% 올랐다. 인천(3.1%) 경기(2.5%) 서울(2.4%)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수도권은 지난해 하락(-0.7%)에서 올해 상승으로 반전하긴 했지만 상승률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대구(12.0%) 제주(9.4%) 경북(7.7%) 광주(7.1%) 충북(4.7%) 등 15개 시·도의 공시가격이 올랐지만 세종(-0.6%)과 전북(-0.4%)은 하락했다.

공시가격 상승률을 가격대별로 보면 2억원 이하 주택은 2.7∼3.6%, 2억원 초과 주택은 2.5∼3.1%였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주택의 공시가격이 더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세금과 관리비 등 유지비가 많이 드는 대형 주택에 대한 선호는 줄어든 대신 처분이 쉬운 소형주택 쪽으로 수요가 옮겨갔기 때문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공동주택 가운데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서울 서초동 트라움하우스 5차 273.64㎡로 61억1200만원이다. 전국 약 398만 가구의 개별 단독주택 평균 공시가격은 3.96% 상승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