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아이폰 최대 구매시장으로 떠올랐다. 중국의 아이폰 열기는 애플의 1분기 판매호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애플은 올 1분기 매출 580억 달러, 순이익 136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 456억 달러, 순이익 102억 달러에 비해 매출은 27.2%, 순이익은 33.3% 늘었다.
주목할 대목은 중국에서의 성적표다. 일반적으로 1분기는 크리스마스, 블랙 프라이데이 등이 있는 최대 성수기인 4분기에 비해 상대적인 비수기로 꼽힌다. 실제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애플이 지역별 실적을 공개하는 모든 지역의 1분기 매출은 지난해 4분기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중국은 1분기 매출이 지난해 4분기보다 4% 증가했다. 비수기에도 중국 내 아이폰 등 애플 제품에 대한 수요가 변함없이 높았다는 의미다.
애플은 올 1분기 전 세계에서 6100만대의 아이폰을 판매해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지난해 4분기 7400만대보다는 줄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4200만대보다는 40% 늘어난 수치다. 애플 최고재무책임자(CFO) 루카 마에스트리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의 아이폰 판매량이 사상 최초로 미국을 넘어섰다. 중국의 성장률은 전 세계 다른 곳에 비해 확연하게 높다”고 강조했다. 마에스트리 CFO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선 “중국에서 아이폰 매출이 72% 증가했다”고 밝혔다. 애플 전체 매출의 69%가 미국을 제외한 곳에서 발생했다. 중국은 1분기에 춘제가 있어 선물 수요가 높았고, 대화면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도 여전해 아이폰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애플은 1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많은 456만대의 맥을 판매했다. 아이튠즈, 앱스토어 등 서비스 분야 매출은 49억9600만 달러로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이폰 판매량이 늘면서 맥과 앱스토어의 매출도 덩달아 뛰어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아이패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아이패드는 1분기 1260만대 판매돼 전 분기보다 41%,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3% 판매가 줄었다.
실적발표 후 이어진 콘퍼런스콜에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플워치 판매량에 대한 질문에 “수요가 공급을 앞지른 상황”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아이폰 중국 판매량 ‘애플 안방’ 넘어서… 순이익 136억달러 33%↑
입력 2015-04-29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