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의 검찰 소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검찰이 지난달 27일 박 전 수석의 자택과 중앙대, 교육부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지 1개월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검사 배종혁)는 이번 주 중 박 전 수석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라고 27일 밝혔다. 중앙대 총장 출신인 박 전 수석은 청와대 근무 시절인 2011년 중앙대의 본·분교 통합, 교지 단일화, 적십자간호대학 인수 등을 성사시키려 교육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받고 있다. 뭇소리재단 대표로 있으면서 재단 공금 수억원을 횡령한 혐의도 있다.
박 전 수석의 개인 비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검찰 수사는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과의 유착으로까지 확대됐다. 박 전 수석에게 뇌물수수 혐의가 추가될 가능성도 있다. 검찰 관계자는 “직권남용과 횡령에서 두 가지 정도 혐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박 전 수석은 청와대 소속이던 2011년 부인 명의로 서울 을지로 두산타워 상가의 임차권을 정기분양 시기가 아닌 때에 특혜 분양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지난해 박 전 수석은 두산엔진 사외이사로 임명됐고, 그의 장녀는 33세 나이로 중앙대 교수에 채용됐다.
검찰은 박 전 수석 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중앙대 이사장을 지낸 박용성(75) 전 두산그룹 회장을 소환해 중앙대 특혜와 관련된 대가성 여부를 추궁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수석을 소환조사한 뒤 학교와 재단 관계자들의 처벌 수위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박범훈 전 청와대 수석, 주중 검찰 소환… ‘두산과 유착’으로 수사 확대
입력 2015-04-28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