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산하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들의 혁신방안이 겉돌고 있다. 민선 6기 이후에도 억대 연봉을 받는 기관장에 시장 측근인사를 임명하고 경영성과 분석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광주시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택, 교통, 문화, 복지 분야 등에서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이 공공사업을 맡도록 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시 정책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도시공사와 철도공사, 환경공단, 김대중센터 등 4개 공사·공단과 테크노파크, 중소기업센터 등 20개 출자·출연기관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기관은 전문 영역에서 혈세를 지원받아 공무원 조직과 다름없는 공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02년 출범한 민선 3기부터 민선 6기 첫해인 지난해까지 이들 기관의 신임 이사장과 사장은 70% 정도가 해당분야와 동떨어진 인사들이었다. 지방선거에서 시장 선거캠프에 몸담았던 비전문가가 낙하산으로 내려오거나 시장 측근 공무원이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수장으로 앉아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사례가 잦았다. 지하철 운영을 전담하는 철도공사의 경우 민선 6기 이후인 지난해 10월 임명된 사장을 포함해 창립 이후 시장 측근인사로 분류되는 전직 공무원들이 수장 자리를 독차지했다.
민선 3∼6기 동안 시 산하 4개 공사·공단 기관장으로 임명된 이는 전체 20명으로 이중 해당 분야전문가는 고작 6명에 불과했다. 20개 출자·출연기관 역시 이 기간 임용된 34명 중 전문가는 10명에 그쳤다. 나머지는 공무원과 정치인, 시민·사회단체 출신 등이다.
경영성과에 대한 평가도 여전히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민선 6기 이후 이들 기관에 대한 조직진단과 획기적 체질개선을 약속했으나 올해 도입한 공기업 팀장급 이상의 연봉 성과계약제를 제외하면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주요 8개 기관장에 대한 시의회 청문회를 새로 도입하는 등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운영의 투명성을 높여왔다”며 “올해 말까지 구체적 진단결과를 토대로 조직과 인력의 군살을 더 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산하 공기업·출연기관 혁신 안되는 ‘혁신방안’… 20개 기관 이사장·사장 70%가 낙하산
입력 2015-04-28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