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복마전’ 東부산관광단지, 근절책은 철저한 수사뿐

입력 2015-04-28 02:01
부산이 시끄럽다. ‘동(東)부산관광단지’ 개발을 둘러싼 비리가 지역 정치인·공무원·경찰·지방공사 관계자들의 얽히고설킨 대형 부패 스캔들로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토착비리 종합세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부산관광단지 개발은 부산 기장군 일대 366만㎡ 부지에 세계적인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부산시는 2005년부터 이 사업을 시작했다. 총 4조원이 투입된 이 초대형 사업은 다국적 기업 유치에 실패하면서 삐걱거렸다. 국내 기업 유치도 어렵게 된 시는 2009년 운영권을 막대한 부채와 함께 부산도시공사로 떠넘겼다. 주체 사업자로 변신한 도시공사는 테마파크 내 푸드타운과 롯데몰 동부산점 설립을 1년 만에 해치워 주위를 놀라게 했다.

금품과 이권을 주고받았을 것이라는 소문이 끊이지 않자 검찰이 나섰다. 소문은 사실이었다. 수사 한 달 만에 공무원, 경찰, 시의원, 공기업 직원 등 9명이 구속됐다. 구속된 사람들은 수억원의 뇌물도 모자라 룸살롱 향응, 요트 접대까지 받았다. 그 대가로 시행사가 헐값에 땅을 살 수 있도록 특혜를 주거나 입찰 조건을 유리하게 바꿔주는 등의 편의를 제공했다. 이모 전 도시공사 사장은 퇴임 직후인 지난해 10월 롯데몰의 어묵 간식 점포를 딸 이름으로 분양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의 칼날은 국회의원 등 부산지역 정·관계 고위층을 겨냥하고 있다.

토착비리는 부산에 그치지 않는 양상이다. 광주지검은 200억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 혐의로 정원주 중흥건설 사장을 지난 23일 구속했다. 검찰은 이 비자금이 지역 정·관계 인사에게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성완종 게이트’를 연상케 한다.

지역 토착비리는 우리 사회의 고질이다. 그런 점에서 박근혜정부도 정권 차원에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지방 토호들의 비리를 발본색원하고 책임자들을 엄벌에 처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