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중남미 4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함에 따라 후임 국무총리 인선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26일 “후임 총리의 인선을 보면 박근혜정부 중·후반기 국정운영 방향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고심하는 부분을 총리 인선으로 엿볼 수 있다는 얘기다.
◇국민 통합형…호남 출신 총리=박근혜정부는 ‘영남 편중 인사’라는 비판에 줄곧 시달려 왔다. ‘호남 총리’는 이런 비난을 일거에 뒤집을 수 있는 반전카드다. 박 대통령이 국민 통합을 국정 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생각한다면 호남 출신 총리가 ‘1순위’라는 논리다.
호남 총리론의 불을 지피는 대표적 인사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다. 김 대표는 26일 4·29 재·보궐 선거 경기 성남중원 유세 도중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국민 대통합을 슬로건으로 내세웠기 때문에 국민 대통합을 할 수 있는 총리를 바란다”고 말하며 호남 총리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김 대표는 지난 23일 광주 서을 유세 중에 “박근혜 대통령이 이 총리가 경질되면 그 다음에 전라도 사람을 한번 총리로 시켜주시기를 부탁한다”면서 ‘호남 총리론’을 수면 위로 올렸다.
호남 총리 후보로는 한광옥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장,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과거 정부에서 총리를 지냈던 김황식·한덕수 전 총리의 ‘재발탁’ 얘기도 심심찮게 들린다.
◇지역 안배·다음 선거 의식하면 그래도 충청 출신 총리=여권 입장에서는 충청의 대표주자인 이완구 총리의 낙마로 요동치는 충청권 민심도 다잡아야 한다. ‘충청 총리론’은 지역 안배와 다음 총선·대선을 고려한 다목적 카드다.
새누리당의 수도권 의원은 “호남 출신 총리를 내세운다고 해서 다음 총선과 대선에서 호남표가 얼마나 늘어날지 의문”이라며 “영호남 구도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충청권에 대한 배려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새누리당 강창희 전 국회의장, 이인제 최고위원, 관선·민선 포함해 충남도지사를 네 차례나 지낸 심대평 대통령 직속 지방자치발전위원장 등이 충청 출신 총리 후보군이다.
◇탈(脫) 지역 총리…개혁 성향 총리와 안정형 총리=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호남 총리론을 띄웠다가 비호남 총리가 기용될 경우 그 뒷감당을 어떻게 할지 걱정스럽다”면서 “충청 총리론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지역을 고려한 총리 인선은 긍정적 영향보다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정치 개혁에 대한 요구도 높다. ‘개혁 성향 총리론’이 힘을 받는 이유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을 지낸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개혁 성향 총리 후보로 이름이 올라 있다.
박 대통령이 정치권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국정을 무난하게 이끌 ‘안정형 총리’를 기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검찰총장을 지낸 이명재 청와대 민정특보가 유력 후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차기 국무총리 인선 보면 朴대통령 하반기 국정운영 방향 보인다… 호남 출신? 충청 출신? 개혁 인사?
입력 2015-04-27 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