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중남미 순방 朴 대통령 오늘 들어오는데…] 총리 인선·특검·개혁 ‘3가지 짐’ 안고 귀국

입력 2015-04-27 02:18
박근혜 대통령이 중남미 4개국 순방을 뒤로 하고 27일 귀국한다. 박 대통령은 9박12일의 해외 강행군 속에 나름대로 적지 않은 경제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귀국한 박 대통령에게는 산적한 국내 현안들이 도사리고 있다. 한마디로 첩첩산중이다. 이번에는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을 송두리째 뒤흔들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안이다. 특히 4·29재보선을 이틀 앞둔 만큼 박 대통령이 내놓을 해법이 앞으로의 정국 향방을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우선 귀국하자마자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휘말려 사의를 표명한 이완구 국무총리의 사표를 수리할 예정이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내내 지속된 ‘총리 트라우마’가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커다란 타격을 입혀온 만큼 이번엔 제대로 된 총리를 임명해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박 대통령은 귀국과 함께 후임 총리 인선 작업을 본격화하겠지만, 인선 과정에선 최대한 신중을 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덕성은 물론 국정 추진력과 개혁의 상징성을 겸비한 인사가 필요하다는 게 청와대와 여권의 기류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차기 총리 인선은 어느 시기보다 그 의미가 중요하다. 대통령께서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직면한 과제는 또 있다. 야당은 특검 카드를 앞세워 2012년 대선자금의 불법성 여부까지 캐고 나섰다. 박 대통령이 자신의 스케줄과 의지대로 정국을 주도해 나가겠다면 야당 공세에 흔들리지 않는 개혁 의지가 필요하다.

공무원연금 개혁 등 각종 개혁과제의 차질 없는 이행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공무원연금 개혁과 노동시장 구조개혁 등을 올해 상반기 반드시 추진해야 할 개혁과제로 수차례 언급했다. 그러나 이들 개혁 이슈는 최근 성완종 정국 하의 여야 공방 속에 실종돼 버렸다. 그런 만큼 박 대통령이 귀국 이후 이들 개혁과제 이행을 위해 다시 한번 개혁의 불씨를 댕기는 것 또한 당면한 숙제라는 지적이 많다.

특히 야당에 대해선 정치공세보다는 각종 개혁과제와 민생문제에 우선해 달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여기에는 여야가 합의한 5월 초 시한까지 공무원연금 개혁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개혁의 모멘텀을 놓쳐 버리면서 노동·공공·금융·교육 등 4대 개혁의 동력도 유실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

상파울루=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