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주기 집회가 열린 지 일주일 만에 서울 도심에서 다시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총파업 신호탄인 이 집회에 세월호 관련 단체 대표와 희생자 가족이 참가하면서 지난주 집회의 연장선을 그었다. 공적연금 강화와 최저임금 1만원 쟁취 등의 구호 속에서 세월호 진상 규명 요구도 날카롭게 이어졌다. 집회는 큰 충돌 없이 끝났다.
민주노총은 24일 오후 3시 서울광장을 비롯해 전국 17개 도시에서 ‘노동자·서민 살리기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동시다발적 총파업에 들어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 2000여명을 포함해 약 1만명이 집결했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위원장 등 세월호 가족 50여명이 동참했다.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은 “세월호 진실을 밝히기 위한 범국민적 투쟁이 지칠 줄 모르고 확대되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민주노총이 앞장서 투쟁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세월호 가족 대표로 나선 전 위원장은 “저희가 계속 국가와 정부를 상대로 목소리를 내고 싸울 수 있는 것 여기 계신 조합원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의 힘”이라며 “끝까지 함께 해 달라”고 했다.
전교조는 공무원연금 개혁 반대, 전교조 법외노조화 저지에 이어 세월호 특별법 정부시행령 폐기,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이들은 9년 만에 연가투쟁에 나섰다. 변성호 전교조 위원장은 “세월호 특별법 정부시행령 폐기와 조속하고 온전한 선체 인양을 위해 양심 있는 모든 국민과 함께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미리 신고된 거리행진 과정에서는 시위대 일부가 청와대 진출을 시도했다. 경찰병력이 쇄도되고 차벽이 설치됐다. 경찰은 해산명령을 내렸다. 종각사거리 등은 전 차로가 점거돼 한동안 차량 통행이 전면 통제됐다. 시위대는 오후 6시 반쯤 “5월 1일 (노동절 집회 때) 서울광장을 뒤엎겠다”는 이영주 민주노총 사무총장의 발언과 함께 해산했다. 서울광장에서는 25일에도 공적연금 강화 범국민대회 등이 열릴 예정이다. 경찰은 최대 3만4000명이 참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강창욱 전수민 황인호 기자 kcw@kmib.co.kr
‘총파업’ 서울 도심, 시위대·경찰 긴장의 주말
입력 2015-04-25 0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