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월호 인양 결정한 만큼 더 이상 갈등 없었으면

입력 2015-04-23 02:38
세월호가 드디어 인양된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7개 부처로 구성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어 해양수산부가 제출한 세월호 선체 인양 결정안을 심의하고 원안대로 확정했다. 이르면 9월부터 현장 작업을 시작할 수 있으며 선체 인양을 마무리하는 데 12∼18개월이 소요되고, 비용은 1000억∼1500억원이 예상된다고 중대본은 밝혔다. 지난해 11월 11일 수색 종료 후 인양 여부를 놓고 지루하게 공방을 벌인 끝에 내린 5개월여 만의 결론이다. 인양의 어려움, 막대한 비용, 추가 희생자 우려 등 ‘3대 불가론’을 내세워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지만 일단 결정된 이상 인양 성공에 한마음으로 협조해야 한다. 최대한 안전하고 신속하게 끌어올리는 데 국가 차원의 역량도 집중해야 하겠다.

세월호 인양은 고난도 작업인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수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화물까지 더해 1만t이 넘는 침몰 선박을 절단 없이 통째로 인양한 사례가 없다고 한다. 위험이 따르고 불확실성 또한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국내에서는 단독으로 인양 가능한 기술력을 가진 업체가 없어 국내 업체와 해외 업체의 컨소시엄이 구성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것은 부적격 업체를 동원해 불필요한 오해와 마찰을 빚었던 참사 당시의 과오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실종자 유실·훼손 우려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직도 가족 품에 안기지 못한 실종자 9명이 선체 안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12년 지중해 해안에서 침몰한 11만4000t급 이탈리아 유람선 콩코르디아호의 마지막 실종자도 인양된 선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수습됐다.

우리 사회는 세월호 인양과 특별법 시행령안을 놓고 수개월 동안 분열 양상을 보였다. 이념·계층 갈등으로 ‘대한민국호’는 갈기갈기 찢겨 심하게 휘청거린 것도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인양을 통해 경제적인 비용보다 더 큰 사회적 갈등 비용을 줄일 수만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또 하나의 장벽인 특별법 시행령안도 정부·특별조사위원회·유가족 간 허심탄회한 대화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304명의 사망·실종자들을 위하고 대한민국의 깊은 상처를 씻을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