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의 사의 표명으로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1막(幕)이 끝났다. 하지만 결말을 여전히 알 수 없는 혼돈의 정국이 이어지고 있다.
여권은 이 총리 사의 표명으로 ‘성완종 리스트’의 불길이 잡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 사의 표명을 반전의 계기로 삼아 역공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야당은 이 총리 사의를 신호탄으로 ‘성완종 메모’에 있었던 다른 7명 여권 실세의 연쇄 낙마를 시도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이 총리 사퇴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강조한 이유다.
변수는 검찰 수사다. 여야를 가리지 않는 마당발이었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무차별 금품 로비를 해왔던 점을 감안하면 여야 모두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검찰의 칼날이 어디로 향할지에 따라 정국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중남미 4개국을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두 번째 방문국인 페루에서 이 총리 사의 표명을 보고받고 “이 일로 국정이 흔들리지 않고 국론 분열과 경제 살리기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내각과 비서실은 철저히 업무에 임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 총리 사의를 받아들여 귀국 이후 사의를 수용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이어 “매우 안타깝고 총리의 고뇌를 느낀다”고 말했다고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이 전했다. 또 “검찰은 정치개혁 차원에서 확실히 수사해 모든 것을 명백히 밝혀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는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모든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야당의 공세를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코너에 몰렸던 새누리당은 이 총리 사의 표명으로 악화되던 여론이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안도했다. 새누리당은 성 전 회장이 노무현정부 시절 두 차례나 이례적으로 특별사면됐던 사실을 집중 부각시키며 반격을 개시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21일 “(두 차례의 특별사면이) 노무현 대통령의 청와대에서 주도적으로 이뤄진 일이라는 증거를 갖고 있다”며 “국정조사를 열어 확인해보자”고 야당을 압박했다.
새정치연합은 이 총리 외에 ‘성완종 메모’에 있는 다른 7명으로 과녁을 옮겼다. 또 이 총리를 포함한 ‘성완종 메모’ 8명에 대한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검찰이) 전·현직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권력 핵심 인사들이 (성완종 메모에) 줄줄이 적시된 것을 두고 그냥 넘어가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이슈분석] 이완구 전격 사퇴, 혼돈의 정국 어디로… 부담 던 檢, ‘8인+α’ 겨눈다
입력 2015-04-22 03:00 수정 2015-04-22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