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 주민센터, 복지 사각지대 찾아간다… 7월부터 맞춤형 서비스

입력 2015-04-22 03:39
서울의 동 주민센터가 일반 행정기관에서 벗어나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기관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울시는 오는 7월부터 1단계로 13개 자치구 79개 동 주민센터를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로 운영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성동, 성북, 도봉, 금천구는 전 동 주민센터가 1단계 사업 대상에 해당되고 종로,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구로, 동작, 강동구는 2개 동 주민센터씩 포함된다. 이어 2018년까지 연차적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423개 동 전체로 확대된다.

센터의 핵심 기능인 ‘찾아가는 복지’ 실현을 위해 전 직원이 ‘우리동네 주무관’이라는 이름으로 구역을 나눠 복지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여기에 동 주민센터 당 사회복지직 5명, 방문간호사 1∼2명을 확충하기 위해 현재 사회복지인력 및 방문간호사 600여명의 채용이 진행중이다.

시는 이런 방법으로 2018년까지 서울시의 모든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방문간호사 인력의 2배 수준인 2450명을 추가로 증원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에 자치구 단위로 복합적인 생활고에 처한 주민을 발견해 민·관 협력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던 통합사례관리는 전국 최초로 ‘동 단위’에서 이뤄진다. 김의승 서울시 행정국장은 “동별로 통합 사례관리사를 1명씩 배치할 계획”이라며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를 통해 서울시의 적극적인 복지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복지의 핵심 대상은 65세가 되는 어르신 가정, 임신 20주 이후 임산부 및 만 2세 이하 영유아 가정, 빈곤 위기 가정이다.

노령층 진입 연령인 65세 어르신 가정을 방문간호사가 찾아가 혈압, 혈당 등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건강지원 안내 및 향후 설계를 지원한다. 사회복지공무원은 기초노령연금, 어르신 교통카드 등 복지혜택과 노인복지관, 교육문화시설 등 어르신을 위한 생활정보를 안내한다. 임신 20주 이후 임산부 및 만 2세 이하 영유아 가정은 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와 구역 전담 공무원이 찾아가 출산양육지원금, 양육수당, 바우처 등 복지정보를 제공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