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완종 파문으로 실종된 4·29 재보궐 선거

입력 2015-04-21 02:07
지역 선량을 뽑는 4·29 재·보궐 선거가 실종됐다. 선거운동은 정책 또는 후보들의 됨됨이를 홍보하거나, 유권자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하겠다고 알리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성완종 리스트 후폭풍으로 여야는 서로 물어뜯는 진흙탕싸움으로 일관하고 있다. 정치권의 공방은 성완종 리스트와 세월호 1주기에 집중돼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지도부도 선거운동 현장에서 이것들과 관련된 공방만 주고받는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20일 각각 서울 관악구와 경기도 성남시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가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 등이 나서서 간단히 자당 후보들을 추켜세운 것 외에는 성완종 사태에 대한 공방, 세월호 1주기 관련 언급이 주를 이뤘다. 야당은 선거 현장의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완구 총리 해임결의안을 국회에 내기로 결정했다. 이 총리가 이런 지경까지 오게 된 데에는 본인과 여권 지도부의 미흡한 대처가 주 원인이긴 하지만 대통령이 국내에 없는 동안 여권을 공격하기 위한 의도적인 정치적 공세로밖에 볼 수 없다. 여당은 과거 정권의 대선자금까지 수사하라는 압박으로 상대 당 대표까지 물고 늘어진다. 서로가 뻔히 보이는 얕은 수로 선거운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재보선 선거운동이 실종됐다는 것은 정치가 본질에서 이탈했다는 뜻이다. 선거운동을 통해 공무원연금 개혁안이나 각종 정책·입법 과제들에 대한 후보와 당 지도부의 주장들이 부각돼야 하는데 모든 것이 사라져버렸다. 이런 식의 선거운동 행태는 이성적이지 못하다. 유권자들은 거대한 사태에 떼밀려 감정에 휘둘리거나, 아예 냉소적으로 돼버리기 쉽다. 모든 정치적 사건들이 각 정파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요소들을 지니고 있지만 해당 선거구 유권자들은 상황을 좀 냉정하고 성숙된 자세로 볼 필요가 있다. 재보선은 재보선일 뿐이다. 나머지 1주일이라도 여야의 품격 있는 선거운동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