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탄소산업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는 ‘융·복합 탄소성형 부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본격 추진된다.
도는 이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2015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면 내년부터 이 사업을 본격적으로 벌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미 하이테크밸리 66만1000㎡에 내년부터 5년간 5000억원을 들여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에는 경북도내 탄소관련업체 2434개사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스톱(One-stop) 제품 상용화 지원시스템이 구축돼 국내 탄소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정부는 현재 세계 8위 수준인 탄소산업을 4강으로 도약시킨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이곳에는 탄소성형 부품 상용화 시험·평가·인증센터, 리사이클링 센터, 탄소복합재 부품기업 집적단지 등이 들어선다. 또 탄소 융·복합 기술개발, 종합기술 지원 등에 나선다.
탄소소재산업은 초고온, 고강도, 고전도성, 내마모성 등 우수한 특성으로 기존 소재의 기술 한계를 뛰어넘는 꿈의 신소재로 급부상하고 있다.
도는 탄소성형 클러스터를 미래 먹을거리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해 도레이 첨단소재(탄소섬유)의 투자를 끌어내는 등 전력을 쏟고 있다.
또 그동안 탄소산업에 집중한 전북도의 창조경제혁신센터 핵심사업과 맞물려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선정에 어려움이 따르자 전북도와 탄소산업 연구개발에 공동 참여하고 관련 산업 육성에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추가 기획과정을 거치면 지역별 탄소산업 연구거점과 지원인프라 구축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탄소산업 지원정책으로 전주 탄소밸리 구축사업(2011∼2016년)을 시작으로 여러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경북도와 전북도가 탄소산업 육성에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상생발전 협력모델을 만들어냈다는데 의미가 크다”며 “양 자치단체가 탄소산업 육성에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국내 탄소산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 세계 8위 탄소산업 4강 견인 시동
입력 2015-04-21 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