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공기관으로는 전국 최초로 장애인공무원을 돕기 위한 ‘근로지원인’ 제도를 도입한다. 또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62명의 장애인 공무원을 신규 채용한다.
서울시는 장애인의 날(20일)을 앞두고 채용확대, 경력개발 지원, 근무환경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장애인공무원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방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장애인 공무원을 전체 직원의 10%까지 채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매년 신규 채용인원의 10%를 지속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비율(3%)보다 높은 4.6%에 해당하는 1619명(시 272명, 자치구 1347명)이 근무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이 309명, 경증이 1310명이다.
또 근로지원인 제도를 본격 도입하기 위해 이달부터 중증 시각장애인공무원 4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중이다. 근로지원인은 문서 대독 및 대필, 출장지원, 회의준비, 식사보조 등 장애인공무원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업무수행을 돕는 역할을 한다.
시는 본청과 사업소 40개 부서를 장애인 친화부서로 지정해 희망하는 장애인공무원을 최우선 배치, 장기근무를 유도하기로 했다. 장애인공무원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할 수 있는 주요부서 범위도 기존 기획·인사·감사·예산부서에서 전체 실·국 핵심부서로 확대한다. 아울러 실·국별 1명 이상 장애인공무원 전문관을 선발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시는 또 장애인공무원이 개인별·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보직을 부여받고 체계적으로 경력개발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이를 지원할 ‘장애인공무원 직무 코디네이터’를 6월 중 신규 채용한다. 근무평정과 승진 때도 장애인 공무원을 우선으로 추천하고, 특히 중증장애인 공무원은 최우선으로 배려할 계획이다.
아울러 청사 내 편의시설과 업무 관련 전산시스템을 개편할 때 장애인 공무원을 직접 참여시켜 모니터링하게 하고,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도 시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장애인 교육분야는 전국 17개 시도 평균보다 열악한 환경이어서 분발이 요구된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펴낸 ‘2014년도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비교’ 자료에 따르면 교육 분야의 전국 시·도 평균 점수는 70.63점인데 서울은 66.84점에 머물렀다. 울산, 충남, 경남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우수 등급에 포함된 반면 서울과 전북은 2년 연속 분발 등급으로 분류돼 장애인 교육 분야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세부적으로는 특수교육 대상자 1인당 예산액과 특수교육 예산지원 비율, 특수학급 설치율, 특수교육 대상 학생교육 비율, 장애성인 1인당 교육예산액 등이 저조했고 통합교육 학생비율과 일반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은 최저 수준이었다.
최근 발달장애인의 부모들이 시청에서 농성을 하며 성인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설치를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장애인공무원 올해 262명 채용… 전체 10% 목표
입력 2015-04-20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