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가 지난해 유가 하락으로 심각한 적자에 빠져들면서 임금삭감과 구조조정 등 사상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19일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7년 만에 적자를 낸 SK이노베이션과 최대 규모의 영업손실을 낸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정유업계의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
SK이노베이션의 직원 1인당 급여는 2013년 6714만원에서 지난해 6593만원으로 1.8% 줄었다. GS칼텍스는 같은 기간 9107만원에서 8402만원으로 8.8%, 에쓰오일은 9460만원에서 8973만원으로 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업계에서 유일하게 선전한 현대오일뱅크 직원의 급여도 2013년 8400만원에서 지난해 7900만원으로 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월급만 줄어든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일부 정유사의 직원은 조직개편과 명예퇴직 등으로 인해 정든 회사를 떠나야 했다.
GS칼텍스 직원 수는 2013년 말 기준 3209명에서 지난해 말 3156명으로 줄었다. 현대오일뱅크 역시 1833명에서 1766명으로 1년 새 67명 감소했고 SK이노베이션은 1892명에서 1878명으로 소폭 줄었다.
정유업계는 올해 들어 정제마진의 강세와 원유 투입 원가 하락 등의 요인으로 실적이 개선되면서 다소 숨통이 트인 모습이다. 유진증권 등 7개 증권사의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은 1932억원에 달했다. GS칼텍스와 에쓰오일 등도 모두 흑자전환하면서 2000억원 안팎의 이익을 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이 같은 실적 개선이 2분기 이후에도 지속할지에 대해서는 비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중장기적으로 석유제품 수요는 정체된 상황에서 정유시설 투자가 수요를 뛰어넘으면서 정제마진이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저유가 직격탄 맞고 죽다 살아난 정유업계
입력 2015-04-20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