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급증하는 장애 노인 대책 시급하다

입력 2015-04-20 02:33
우리나라의 장애 인구는 272만여명이다. 인구 100명당 5∼6명인 셈이다. 문제는 장애인 가운데서도 취약계층으로 꼽히는 노인 장애인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혼자 사는 장애인도 급격히 늘고 있다. 19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애인 중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43.3%로 9년 전인 2005년의 32.5%보다 10% 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장애인 가운데 혼자 살고 있는 사람도 2005년 11.0%에서 24.3%로 급증했다. 이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장애 노인 급증은 2026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이 인구의 20% 이상)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고령화 영향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 노인 비중은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 장애인 4명 중 1명은 ‘나홀로’ 가구다. 가족 친지와 떨어져 살고 있어 사회적 돌봄을 필요로 한다. 이러다보니 정서적 위기로 우울함을 느끼거나 자살을 생각하는 확률이 비장애인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아울러 장애인 중 80%에 육박하는 이들이 만성 질환을 갖고 있어 소득 보장보다는 의료 보장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해 정부가 장애인 정책을 세심하게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다.

20일은 제35회 장애인의 날이다. 기념식과 함께 전국에서 장애인 인식 개선 캠페인이 벌어진다. 과거에 비해 일상·사회생활에서의 차별을 덜 느끼고 있다는 게 장애인들의 응답이지만 우리 사회의 배려는 아직도 불충분하다. 자립을 위한 사회적 기반이 부족하고 다중시설 문턱은 여전히 높다. 특히 취업과 관련해 여전히 적지 않은 차별이 존재하는 만큼 정부기관과 기업이 장애인 채용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뿌리 깊은 편견과 냉대는 사라져야 한다. 이번 캠페인 슬로건도 ‘더불어 행복한 사회’다.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에 더욱 관심을 갖고 사랑의 공동체를 가꾸기 위한 실천에 매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