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고 1주기에 즈음해 18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범국민대회’가 불법과 폭력으로 얼룩졌다. 일부 참가자들이 집회가 끝난 뒤 광화문광장에 집결, 청와대 쪽으로 진출을 시도하다 경찰과 충돌해 부상자가 속출하고, 경찰 차량 70여대와 장비 360여점이 부서지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경찰은 시위 현장에서 유가족 20명과 집회 참가자 등 100명을 연행했다.
이번 폭력사태 책임은 전적으로 일부 시민단체 회원들의 과격행동에 있다. 이들의 폭력 시위는 대다수 세월호 유족들의 뜻에 배치될 뿐 아니라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말 나들이를 나온 시민들이 겪은 불편은 차치하고라도 세월호 희생자 304명을 기리는 추모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자초했다. 이들의 목적이 전 국민적 추모 분위기에 편승해 자신들의 존재를 과시하려는 데 있는 게 아니고 희생자 추모와 사고 진상규명에 있다면 이럴 까닭이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세월호 선체 인양 방침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세월호 인양을 위해 필요한 조처를 서두르고 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유족들이 반대하고 있는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도 개정할 것을 지시했고, 정부와 새누리당은 개정 작업을 추진 중이다. 그런데도 이들은 세월호 선체 인양과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폐기를 촉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렇게 명분 없는 행동을 하니 세월호 유족 주장에 동조하는 대다수 국민들로부터도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참사 발생 1년이 지나도록 여야 정쟁으로 출범도 하기 전에 뇌사 상태에 빠져버린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를 바라봐야 하는 세월호 유족들의 마음은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유족들을 이용해 사회 분열을 조장하는 체제 불만세력은 엄단해야 한다. 유족들도 과격단체와는 관계를 끊어야 한다. 그래야 세월호 희생자들에게 누가 되지 않고, 불필요한 오해를 피할 수 있다.
범국민대회 측은 오는 24일과 25일 또 한 차례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정부는 합법적 시위는 최대한 보장하되 불법과격시위에 대해서는 법대로 대처해 폭력으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사설] 폭력으로 얼룩진 범국민대회, 대체 누굴 위한 건가
입력 2015-04-20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