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서방국가들 간 대립이 지속되는 가운데 해상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도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에 ‘신(新)냉전’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냉전 분위기를 가장 고조시켜온 나라는 러시아다. 러시아는 지난해 크림반도 병합에 이어 북유럽 발트해 연안 등 각지에서 잇따라 군사력을 과시해왔다. 지난해 11월 에스토니아·리투아니아 상공에 러시아 전투기가 접근해 군사적 긴장을 높인 이래 수시로 유럽 영공을 위협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에는 발트해 상공에서 러시아 전투기가 미군 정찰기를 대상으로 위협비행을 했고 14일에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군이 훈련 중이던 영국 인근에 러시아 군용기와 군함이 출현해 긴장이 조성되기도 했다.
새뮤얼 라클리어 미군 태평양사령관은 이날 미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러시아가 지난 몇 달간 아·태지역에서 냉전 수준에 가깝게 군사행동을 늘리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그는 최근 러시아가 탄도미사일 개량을 통해 태평양 지역에서의 핵 억지력을 강화하고 북극 및 아시아 지역의 잠수함 부대도 확충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또 러시아군의 활동 범위가 동북아와 동남아 지역까지 전방위로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폭격기와 정찰기가 알래스카와 미 서부 해안에서 정기적으로 임무 비행을 하는 등 러시아군의 활동 범위는 유럽과 아시아에서 북중미 대륙까지 확산되고 있다.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과 영유권 분쟁을 일으키며 동아시아 해상을 장악해가는 중국도 ‘냉전 2.0’의 또 다른 주역이다. 라클리어 사령관은 최근 남중국해 분쟁지역에서 중국이 건설 중인 인공 섬 7곳이 군사 전초기지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결국 인공 섬에 장거리 레이더와 미사일시스템, 초계함과 같은 군사설비들이 배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인공 섬이 완성되면 중국이 이 일대를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두고도 2012년부터 일본과 끊임없는 신경전을 벌여왔다. 중국은 이달 초 해경선 3척을 보내는 등 올해 들어서만 10차례나 일본과의 분쟁지역에 해경선을 보냈다.
중·러의 군사활동 확대는 ‘전쟁할 수 없는 나라’였던 일본에 군비확장의 빌미를 줬다. 일본 방위성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항공자위대 전투기 출격 횟수가 943회로 냉전시기였던 1984년 이후 최다였다. 방위성은 중·러 공군기 출현에 대한 대응출격이었다고 해명했다. 일본은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맞서 수직이착륙기, F-35 스텔스 전투기 등을 사들여왔다.
각국의 국방비 지출에서도 이런 흐름은 명확히 드러난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최근 발표한 연례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중국과 러시아는 국방비로 각각 2160억 달러(약 236조원)와 845억 달러(약 92조원)를 지출했다. 전년 대비 각각 9.7%와 8.1% 늘어난 것이다.
중·러 간 군사적 밀월도 강화돼 러시아가 최근 중국에 첨단 방공무기인 S-400 지대공미사일을 수출키로 했고, 조만간 30억 달러(약 3조3000억원) 규모의 이 미사일들이 실전배치된다고 차이나데일리가 16일 보도했다. 중국이 센카쿠 일대 방어를 위해 이를 도입했다는 얘기들이 흘러나온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中·러 무력시위에… 日 전투기 출격 30년 만에 최다
입력 2015-04-17 0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