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치했던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의 해외투자가 무산됐다. 울산을 석유산업의 국제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에 난항이 예상된다. 오일 허브는 대규모 석유시설을 기반으로 석유 거래 관련 물류, 금융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제 중심지다. 정부는 이 사업으로 향후 60조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14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에 참여키로 했던 세계 1위 석유·화학제품 저장 업체 보팍(Vopak)이 당초 약속했던 700억원가량의 투자를 취소했다.
보팍은 지난 1월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 탈퇴 방침을 한국석유공사에 공식 통보하고, 소유하고 있던 ‘코리아 오일 터미널(KOT)’ 지분 매수를 요청했다. KOT는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을 운용하기 위해 지난해 2월 설립된 특수목적법인으로 석유공사(51%), 보팍(38%), 에쓰오일(11%)이 지분을 나눠 갖고 있었다.
보팍이 사업 철수를 결정하면서 정부 계획에 차질이 발생했다. 석유공사는 우선 보팍의 지분을 인수한 뒤 새로운 주주사를 모집해 지분을 넘겨야 하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 국내의 삼성토탈, 중국의 시노마트와 투자 기본합의서(HOA)를 맺었지만, 유가 하락으로 이들 업체의 실제 투자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은 총 사업비 6058억원이 소요된다. 정부는 KOT가 6058억원의 30%를 마련하고, 나머지 70%는 국내외 외부자본을 유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보팍의 투자 취소로 30%의 재원 마련도 어려워지면서 4000억원에 이르는 외부자본 유치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동북아 오일 허브’ 정부 프로젝트 시작부터 미끌
입력 2015-04-15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