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생전에 회삿돈 1000만∼2000만원을 ‘용돈’처럼 썼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성 전 회장이 평소 자금 제공 관련 내역을 기록해두는 성향이 아니었던 터라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일종의 ‘보험용’으로 급하게 비밀장부를 만들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경남기업 핵심 관계자 A씨는 14일 “마당발이었던 성 전 회장이 사람들을 만나면서 쓰는 식사비나 경조사비 등은 봉급으로 해결이 안돼 부족분을 회사 경비로 충당했다”며 “매달 1000만∼2000만원을 가져다 썼다”고 밝혔다. 성 전 회장은 비품 대금 등 법인 경비처리 방식으로 부외자금을 마련했다고 한다.
A씨는 “(경남기업) 한 달 매출이 1000억원이 넘고 1년 매출이 1조∼2조원 됐으니까 1000만원 정도의 비용 처리는 어렵지 않았다”며 “경영자로, 또 정치인으로 활동하면서 쓰는 돈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 전 회장은 과거 검찰 수사를 몇 번 겪었기 때문에 사무실에 자금을 보관하기보다 (돈이) 생기는 족족 써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전했다. A씨는 정치권에 자금을 제공한 날짜, 대상 등을 기록한 장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평소 성 전 회장이 돈 문제를 기록해두는 스타일은 아니었다”며 “(장부가) 있다면 해외 자원개발 비리 관련 수사 착수를 전후해 급히 만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 특별수사팀은 성 전 회장에게서 불법자금 1억원을 전달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홍준표 경남지사를 대상으로 사실상 수사에 돌입했다. 수사팀은 자금 전달자로 지목된 윤모(52) 전 경남기업 부사장을 지난 12일 출국금지하고, 이번 주 중 출석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 전 회장이 사망하기 직전까지 보좌했던 수행비서 이모(43)씨에게도 소환 통보를 했다. 이씨는 성 전 회장의 비밀장부나 일정표 등 추가 자료를 보관하고 있을 유력 인물로 꼽힌다.
박세환 이경원 기자 foryo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성완종 리스트’ 파문] 경남기업 핵심 관계자 “성 회장, 회삿돈 1천만원∼2천만원 정도 용돈처럼 써”
입력 2015-04-15 02:34 수정 2015-04-15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