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 與, 문재인 대표 정조준… 野 “근거 없는 공세 말라”

입력 2015-04-14 02:48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왼쪽)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가 굳은 표정으로 경청하고 있다. 구성찬 기자

노무현정부 때 두 차례 단행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이 정국의 새로운 암초로 부상했다. 새누리당은 검찰 수사 필요성을 제기하며 반전을 시도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근거 없는 정치 공세”라고 강력 반발했다.

◇金 “두 차례 특사가 의혹”, 文 “돈 받은 데 가서 취재하라”=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성 전 회장이 특별사면된 경위에 대해 검찰 수사를 거론한 것은 ‘성완종 리스트’ 국면을 여권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를 정조준했다. 성 전 회장이 특별사면된 2005년과 2008년 문 대표가 각각 청와대 민정수석과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점을 부각시키는 전략을 구사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표가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갖고 직접 정치공세를 벌이는 것은 국민 보기 민망스럽다”고 공세를 취했다.

새정치연합은 발끈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성 전 회장은 특별사면된 당일 이명박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에 위촉됐다”며 “이명박정부 인수위에 들어가기로 돼 있는 인사를 참여정부가 특별히 봐줄 근거가 없다”고 했다. 2005년 사면에 대해선 “대선자금 및 지방선거와 관련한 대사면으로 여야 인사들이 일괄 대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완종 리스트와 특사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못 박았다.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에 근무했던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한 점 의혹이 없다”고 자신감을 보였다고 한다.

문 대표도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가기 전 사면 당시 특혜 의혹을 묻는 질문이 이어지자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우리 기자님들, 돈 받은 데 가서 취재하세요. 이렇게 엉뚱한 사람 따라다니지 말고”라고 일축했다.

◇특검 카드 만지작거리는 野=여야는 ‘성완종 특검’에 대해선 아직까진 신중한 입장이다. 물론 속내는 다르다. 새누리당은 특검 구성 과정에서 여권실세 금품수수 의혹이 증폭돼 논란이 장기화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사태의 파장이 야권에까지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 수사 결과를 놓고 국민들이 이해가 안 간다고 하면 그때 가서 특검도 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특검으로 갈 경우 시간이 걸린다. 검찰에서 마음만 먹으면 빠른 시간 내에 밝힐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매듭을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원내대표는 ‘검찰 수사를 지켜본 뒤’라는 단서를 달아 “의혹이 계속 남거나 검찰이 의심을 살 만한 행동을 하면 특검을 피할 생각이 없다”고 분명히 했다.

새정치연합은 특검 카드를 본격적으로 꺼내들지 않았다. 하지만 최고위원들을 중심으로 특검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특별감찰을 하든지 특검으로 가는 게 맞는다”고 했다. 검찰이 현직 국무총리와 전·현직 대통령 비서실장 등 살아 있는 실세를 수사하는 게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유승희 최고위원도 “정권 실세이자 친박 실세가 대거 연루된 비리사건을 검찰에 맡기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꼴”이라고 가세했다.

권지혜 임성수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